발전 회사들, 노후 10기 폐쇄 시점 앞당겨져 ‘당혹’

Է:2017-05-15 18:24
:2017-05-15 21:47
ϱ
ũ

미세먼지 대책 반응

발전 회사들, 노후 10기 폐쇄 시점 앞당겨져 ‘당혹’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서울 양천구 은정초등학교에서 열린 미세먼지 바로알기 방문교실에 참석해 학생들과 대화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대책 수립을 지시했다. 이병주 기자
발전 회사들, 노후 10기 폐쇄 시점 앞당겨져 ‘당혹’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꼽은 1호 과제는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 축소였다. 30년 이상 된 석탄화력발전소를 ‘일시가동중단(셧다운)’하고, 임기 내 이들 발전소를 모두 폐쇄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노후 발전소 10기를 운영하고 있는 발전사들은 15일 정부의 폐쇄 결정에 ‘예상했던 일’이라며 덤덤하게 받아들이면서도 폐쇄 시점이 앞당겨진 것에는 당혹감을 드러냈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석탄화력발전소는 총 59기다. 그중 30년 이상 된 노후 석탄발전소 총 10기는 한국동서·남동·중부 등 3개 발전 공기업이 보유하고 있다.

이들 발전소의 설비 용량 비중은 전체 석탄화력발전(31.3GW)의 10.6%(3.3GW) 수준에 불과하지만 황산화물(SOx)과 질소산화물(NOx), 먼지 등 오염물질 배출량 비중은 19.4%나 된다.

청와대는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셧다운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효과에 대해 “1∼2% 정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또 이번 조치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 문제에 대해 “0.2% 정도 요금인상 요인이 있다”면서도 “600억원 정도로 한전이 자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석탄화력의 발전 비중을 줄이고 액화천연가스(LNG) 발전과 신재생에너지를 늘릴 경우 전기요금이 오를 것이라는 우려는 여전하다.

발전사들은 이미 지난해 경유차 등과 함께 미세먼지 주범으로 꼽히자 노후 발전소 폐쇄 시기를 발표한 바 있다. 남동발전에서 운영 중인 영동 1호기는 다음 달 가동을 멈춘다. 대신 올 초부터 우드팰릿이라는 원료를 사용하도록 설비를 전환, 시운전에 들어갔다.

다만 폐쇄 시기와 관련해 ‘문 대통령의 임기 내’로 방침이 정해지면서 일부 발전사는 전력 가동 계획을 전면 수정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당초 보령 1·2호기는 2025년 12월 폐지하기로 했다.

발전사 관계자는 “발전사별로 1년∼1년6개월 단위로 봄, 가을 비수기에 오버홀(기계류를 분해해 점검·수리하는 것)을 위해 셧다운을 해 왔고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이는 노력도 했다”면서 “새 정부 정책에 충실히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문재인정부가 미세먼지 대책으로 석탄화력발전소를 최우선으로 꼽은 것에 대해 섭섭함을 토로하는 관계자들도 있다. 또 다른 발전사 관계자는 청와대 핵심 관계자가 ‘미세먼지 발생 요인 중 석탄화력발전은 10∼20%에 불과하고 50∼60% 이상은 중국 때문’이라고 말한 부분을 언급하면서 “중국 측과의 협상 부분이 빠지면 반쪽짜리 미세먼지 대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이 후보 시절 내놓은 또 다른 미세먼지 관련 공약을 두고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건설 중인 화력발전소 중 공정률이 10% 미만인 경우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것이다. 대상은 SK가스의 당진에코파워 1·2호기, 포스파워의 삼척포스파워 1·2호기 등 총 9기다. 이들 발전소 건설은 이명박정부 때 민간 기업의 발전소 운영을 허가하면서 가능해졌다. 업계 관계자는 “신규 석탄화력발전소는 미세먼지 발생을 막기 위한 최신 시스템을 갖췄다”며 “이전 정권의 잘못된 것은 바로잡아야 하지만 적폐 청산을 이유로 무조건 정책을 뒤집어선 안 된다”고 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사진= 이병주 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