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지자체들이 친환경 산업 거점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환경보호에 알맞고 에너지 효율까지 높은 친환경 산업을 선점해 꿩도 먹고 알도 먹겠다는 것이다. 지자체들의 각축전 속에서 정부도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맞춰 다양한 기술개발을 독려하는 등 급성장 중인 친환경 산업의 육성에 나서고 있다.
21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미래의 대세로 등장한 친환경차 시장에 진출하려는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민선 6기 이후 자동차 100만대 생산도시 조성에 나선 광주광역시가 가장 적극적이다. 시는 우선 수소에너지 연구개발과 보급기반 확충을 통해 수소연료전지자동차 생산라인을 유치하는 데 전력을 쏟고 있다. 시는 수소연료전지차와 전기차 등 친환경자동차에 지역발전의 미래를 걸었다. 이를 위해 ‘수소자동차 허브도시 추진위원회’를 결성한데 이어 가칭 ‘친환경수소교통센터’를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시는 수소자동차와 전기차 산업이 연료전지 등 200여개 연관 산업을 동반 성장시키는 핵심동력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친환경차 도입과 보급에도 적극적이다. 시는 민선6기 이후 전체 관용차 90여대의 절반이상을 전기차와 수소차 등 친환경차로 잇따라 교체했다. 윤장현 광주시장 역시 취임 직후부터 소형 전기차 ‘쏘울EV’를 관용차로 사용 중이다.
시는 2013년 전기차 18대를 첫 도입한 이후 3년여 만에 전체 관용차의 60% 이상이 친환경차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시는 100만대 생산도시 조성사업이 최근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통과된 것을 계기로 2021년까지 빛그린산단 408만8000㎡에 국비와 시비 등 3030억원을 들여 친환경차 부품기업을 대거 유치하기로 했다. 광주는 울산에 이은 국내 2위의 완성차 생산지역으로 현재 연간 64만대의 양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경남 창원시는 수소차에 연료를 공급할 충전소를 지난 12일 착공했다. 시는 지역 전문기업이 해외 선진기업과 기술제휴를 통해 국제 표준규격을 준수하는 수소차 충전시스템을 구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충천소는 내년 1월초 완공 예정이다.
시는 향후 관용차를 수소차 중심으로 구입하고 민간인이 수소차를 살 경우 차량구입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올해 창원에 보급할 수소차는 관용차와 민간인 차량을 합쳐 25대가 목표다. 민간인이 수소차를 구입하면 정부지원금(2750만원)외에도 시비(1000만원)를 추가 지원해 민간보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미래 친환경 생태도시 구현을 위해 에너지 자립 시설인 ‘경기도 에코 라이프센터(이하 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수도권에서 친환경 에너지 산업을 선도하는 전용공간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2018년 착공을 목표로 한 이 센터는 수력, 풍력, 태양광 등을 이용한 최적의 생태기술을 적용해 화석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100% 에너지 자립 시설로 만들어진다. 도는 탄소 제로(Zero) 배출과 생태적 가치가 높은 생태 마을, 생태 도시를 조성할 때 센터가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센터에 적용된 기술을 경기도 청소년수련원이나 영어마을 등 대규모 문화시설에도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손경종 광주시 자동차산업과장은 “친환경 산업은 환경보호와 함께 지역발전을 획기적으로 앞당기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크다”며 “친환경차 등 친환경 산업 발굴에 각 지자체들이 매달리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수소차·전기차·충전소… 지자체, 친환경산업 선점 총력전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