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핵시설(5㎿ 흑연감속로)이 위치한 평안북도 영변 부근에 서울의 특정 지역을 본떠 만든 가상 훈련장을 포함한 대규모 군사훈련 시설을 건설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북한 전문가인 커티스 멜빈 미국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연구원은 12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출연해 북한이 영변군 구산리에 대규모 군사훈련 시설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미국 상업위성이 촬영한 사진으로 보면 영변 핵시설 북서쪽의 이 시설은 2014년 9∼10월 불과 한 달 만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김정은체제 이후 북한에서 만든 군사훈련 시설 중 최대 규모다.
멜빈 연구원이 공개한 훈련시설 사진에는 전투기와 탱크, 트럭, 각종 훈련을 위한 장애물, 방송수신 안테나 등이 보인다. 이 시설은 소규모 군사작전 훈련장, 길이 400m의 사격훈련장, 가상 훈련장 등 3개 구역으로 구성됐다. 멜빈 연구원은 “이들 구역 중 가상 훈련장이 서울 특정 지역에 대한 군사행동을 염두에 둔 것 같다”며 “다만 서울의 어떤 곳인지는 분석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앞서 북한이 강원도 원산에 있는 갈마비행장 확장 공사를 마쳤고, 바다를 메워 해군 공기부양정 기지를 확장하는 공사도 진행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RFA는 또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앞두고 이미 지난해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대비할 것을 지시했다고 전했다. 북한 내부 소식통은 “김 제1비서가 지난해 북한 군부에 향후 3년치 군량미를 미리 준비해 놓을 것을 지시하고 기회 있을 때마다 이를 점검해 왔다”고 했다. 아울러 “특별배급 대상인 수도 평양의 식량 배급 사정이 날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는데, 이는 김 제1비서의 3년치 군량미 확보 지시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내주 초 개성공단 중단 이후 첫 대국민 메시지를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오는 16일 예정된 국무회의 또는 그에 앞서 개성공단 등 북한 문제에 대한 별도의 입장을 발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도 신중한 기류 속에 국가안보실을 24시간 가동하며 북측 대응방안을 논의 중이다. 특히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를 거의 매일 소집해 북한 움직임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도 지난 10일 고위 당정청회의에서 “북한이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이어 국지도발, 후방 테러를 감행하거나 국제 테러단체와 연계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한 바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軍, 北 미사일 분사구 추정 잔해 3개 추가 인양
▶北, 시한 40분 남기고 “나가라”… 자산도 동결
▶‘더 이상 교류·협력은 없다’… 北 적반하장 ‘개성공단 폐쇄’
▶개성공단 중단 국가 상대 소송 과거 사례… 법원 “고도의 정치적 판단” 소송 낸 업체들 모두 패소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北, 영변에 서울 본뜬 훈련장… 김정은, 3년치 군량미 비축 지시”… 美 자유아시아방송 보도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