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적은 높지만 학습 방법은 비효율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순천대 장상수 사회교육과 교수는 청소년정책연구원이 발간하는 계간지 '한국청소년연구' 여름호에 실린 논문 '가족배경과 학습시간, 성적-국제비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2003년 OECD가 수집한 '국제학생평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점수는 542.2점으로 핀란드에 이어 2위다. 하지만 핀란드 학생들보다 수학시간에 들이는 시간은 배 이상이었다. 한국 학생들은 1주일간 10.4시간 동안, 핀란드 학생들은 이에 절반도 안 되는 4.5시간 동안 수학 공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학 성적이 3위인 네덜란드(4.9시간)와 4위인 일본(6.9시간), OECD 평균(7.6시간)보다도 2.8∼5.5시간 정도 오래 공부했다.
선진국에서는 학습시간이 짧을수록 성적이 좋은 경향을 보였다. 독일 영국 덴마크 등은 학교 수업시간이 길수록 성적이 낮았고, 오스트리아 프랑스 등은 공부하는 시간과 성적이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장 교수는 "이런 나라들은 성적이 나쁜 학생일수록 이를 올리기 위해 오래 공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한국 학생들 수학 성적 OECD 2위… 공부 시간은 1위 핀란드보다 배 이상
Ŭ! ̳?
Ϻ IJ о
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