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은 총재 “환율 변동에 금리정책으로 대응 부작용 올 수도”

Է:2014-06-13 02:44
ϱ
ũ
이주열 한은 총재 “환율 변동에 금리정책으로 대응  부작용 올 수도”
이주열(사진)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최근 원·달러 환율 급락과 관련해 “환율 쏠림현상이 부분적으로 있다고 본다”며 “급격한 환율 변동은 부정적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13개월째 기준금리(연 2.50%)를 동결한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환율 변동에 금리정책으로 대응하면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며 환율 안정을 위한 기준금리 조정에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을 판단할 때도 환율 수준 자체보다는 환율 변동에 따른 경제·금융 상황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며 “원화 강세 영향을 계량 모형으로 측정하면 경제 성장에는 부정적이지만 물가를 낮추는 등 양면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세월호 참사에 따른 내수 부진 장기화 여부와 경기회복에 대한 영향은 6월 지표를 보면 판단이 가능할 것이라며 유보적 입장을 밝혔다. 그는 “소비·서비스업 생산 등 관련 경제지표가 부진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세월호 참사 영향이 일시적인지, 통화정책 변화를 불러올 정도인지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와 투자심리 위축이 어느 정도의 속도로 해소되는지가 가장 큰 관건”이라며 “시나리오별로 (정책대응 수단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현재의 기준금리는 경기 회복세를 뒷받침하는 수준”이라며 “(한 달여 전에) 금리가 인상 방향이라고 언급한 것은 연간 4.0%의 경제성장률(GDP) 전망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다만 “한은이 4월에 경제전망을 내놓은 이후 여러 가지 변화가 있어 다음 달 수정 경제전망에서 이런 변화를 반영하겠다”며 GDP 전망치의 조정 가능성을 열어 놨다.

아울러 이 총재는 “몇 달 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이 이어질 텐데 경제 회복세의 강도에 따라 시장의 기대가 달라질 것”이라며 올 하반기 미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 가능성을 제기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