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는 도시 발전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공간정보 정책 5개년 종합계획’ 수립에 착수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종합계획은 시에서 처음으로 수립하는 공간정보 분야의 중장기 계획이다. 공간정보의 중요성을 시민, 관계기관, 내부부서에 각인시키고 체계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오는 10월까지 수립이 추진된다.
현재 시는 여러 공간정보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개별적으로 관리되면서 통합적 접근이 어려운 상태다. 또 부서 간 협업이 원활하지 않을 뿐 아니라 공간정보를 활용한 정책 수립과 행정 효율화에도 한계가 있다.
이에 시는 종합계획 수립을 통해 공간정보 분야의 비전과 로드맵을 마련하고 구체적인 이행 과제를 도출할 계획이다. 아울러 공간정보를 단순한 기술적 도구가 아닌 도시 행정과 일상생활의 필수 기반으로 자리매김시킬 방침이다.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서비스 개발도 주요 과제 중 하나다. 부동산 정보, 육아 및 교육 정보, 침수 및 화재 등 안전 정보와 같이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시는 종합계획이 수립돼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부서 간 데이터 공유와 협업이 강화돼 행정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아가 시의 공간정보 기반 정책은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과 함께 인천의 스마트시티 전환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이철 시 도시계획국장은 “공간정보는 미래 도시 경쟁력의 핵심 자산”이라며 “종합계획 수립은 인천이 미래 글로벌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첫걸음이자 공간정보 분야에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