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정치 브로커’ 명태균 의혹 수사 하나로 오세훈 서울시장 집무실과 공관 등에서 진행 중인 검찰 압수수색과 관련해 “신속한 수사를 위해 오 시장이 과거 사용 및 현재 사용 중인 휴대전화를 제출했다”고 20일 밝혔다.
신선종 서울시 대변인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오 시장이) 집무실 PC, 태블릿 포렌식에도 적극 협조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압수수색 범위는 2021년 1월 1일~4월 30일과 2024년 9월 1일부터 현재까지 생성·송수신된 문서와 물건, 정보 등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인 대상은 여론조사 연관성 자료와 컴퓨터, 휴대전화, 일정 기록 등이다.
검찰 압수수색은 이날 오전 10시쯤부터 시청 본관에 있는 오 시장 집무실과 비서실, 한남동 공관, 관련 참고인인 강철원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의 자택에서 진행됐다. 서울시는 “공관 압수수색은 오후 2시쯤 종료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압수수색 영장에 오 시장이 피의자로 적시된 것과 관련해 “시민단체가 오 시장을 고발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기 위해서는 피의자로 사건이 명시돼야 하기 때문이라는 법률 자문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오 시장이 명태균과 그 관련자들에 대해 1차 사기 혐의로 고소한 사건(지난해 12월 3일), 2차 무고 혐의로 고소한 사건(지난 17일)과도 관련이 있다는 게 서울시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검찰 압수수색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면서 “이번 압수수색을 계기로 명태균 관련 의혹이 말끔히 해소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날 오전 오 시장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검찰은 2021년 4·7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그해 2~3월 오 시장 후원자인 사업가 김한정씨가 명씨에게 5차례에 걸쳐 3300만원을 송금한 것과 관련해 오 시장이 개입됐는지를 수사하고 있다.
그러나 오 시장은 명씨 측에 여론조사를 요청하지 않았으며, 결과를 보고받은 적도 없다는 입장이다. 김씨가 명씨 측에 돈을 전달한 사실도 몰랐다는 게 오 시장 측 주장이다.
반면 명씨는 “여론조사 결과가 오 시장 측에 갔을 것”이라는 취지로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