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자연어(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를 바탕으로 한 공공데이터 서비스 ‘서울 데이터 허브’를 최근 공식 운영하기 시작했다고 30일 밝혔다.
서울 데이터 허브는 공공데이터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AI 챗봇 서비스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시가 보유한 공공데이터를 일반 시민부터 전문가까지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가령 AI 챗봇은 ‘전통시장 사과 물가가 궁금해’, ‘여의도에 있는 한강공원 주차장 알려줘’ 등의 질문에 일상적인 언어로 답변한다. 3차원 시각화 자료, 상세 검색, 데이터맵 등의 부가 서비스도 제공한다.
시는 지난해 11월 서울 데이터 허브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지난 20일 기준 누적 조회수 6만7300건, 활성 사용자 1만3800명을 기록했다. 시 홈페이지 통합회원으로 가입하면 누구나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강옥현 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서울 데이터 허브를 활용해 시민 누구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연구자와 정책 입안자들은 혁신적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