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의 전년 대비 상용근로자 1인당 임금 총액 증가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시도별 임금·근로시간 조사’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도내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은 438만5000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서울(459만9000원), 울산(454만8000원)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4.8%(56만 5000원) 상승한 것으로 전국 1위 수준이다. 제조업 중심의 대규모 사업장이 밀집된 지역 특성상 올해 임금 협상이 타결돼 지급된 임금이 총액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물가수준을 반영한 실질임금 증가율 역시 충남이 가장 높았다.
시‧도별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실질임금 증가율을 보면 충남이 12.0%로 가장 높았고, 세종이 3.0%로 2위를 기록했다. 반면 광주(-1.8%)와 전남(-1.3%) 등 일부 지자체는 실질임금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 특성은 근로 시간 조사에서도 나타났다.
충남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 시간은 경남(172.0시간)과 울산(171.8시간)에 이어 세 번째인 171.7시간을 기록해 전국 평균인 167.7시간을 4시간가량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강원(163.8시간)과 대전(164.1시간)의 경우 제조업 비중이 낮고 근로시간이 짧은 서비스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전국에서 가장 짧은 근로시간을 기록했다.
충남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 수는 지난 8월 기준 88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1만3000명) 증가했다. 종사자 수 증가율은 충북(2.2%), 대구(1.6%), 경남(1.5%)에 이어 네 번째로 높았다.
종사자 수 감소율이 높은 지역은 제주(-1.1%), 서울(-0.8%), 대전(-0.6%) 순으로 나타났다.
충남 입직자와 이직자는 각각 3만4000명, 3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3.7%(1만7000명), 34.7%(1만7000명) 감소했다.
도 관계자는 “도내 고용 시장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산업 경쟁력 강화를 통해 지속적인 임금 상승과 고용 안정성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성=김성준 기자 ksj@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