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반도에서 가장 해가 먼저 뜨는 관광명소 울주군 ‘간절곶’ 공원에 45m 태극기 게양대 설치 제안을 두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 사업은 애국심 고취와 국가상징공간을 만든다는 취지로 추진되지만 시민들의 휴식처여야 할 공원에 지나친 애국주의를 덧입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
12일 울주군에 따르면 간절곶에 45m 높이의 태극기 게양대 설치를 검토 중이다. 이 게양대에는 가로 12m, 세로 8m의 대형 태극기를 걸 수 있다. 설치 비용은 6억원, 유지비용은 해마다 4000여만원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바닷가 특성상 변색과 찢김 등이 우려되는 만큼 1장당 약 80만원인 대형 태극기를 매주 새것으로 교체한다고 가정한 계산이다.
이 태극기는 지난 2016년 KTX 울산역 앞에 민간단체가 설치한 대형 태극기와 규모가 같다.
울주군 관계자는 “지난 7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울주군협의회가 울산의 상징적인 장소에 대형 태극기를 걸면 볼거리가 될 것 같다는 제안서를 보내면서 구상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울주군은 최근 서울 광화문 등 대형 태극기 설치 사업이 추진되면서 시민 반대 여론이 거셌던 만큼 사전 주민 의견 들어보기 위해 울주군청 홈페이지에서 설문 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울주군청 홈페이지에는 찬성과 반대의 여론이 이어지고 있다. 일부는 애국심을 고취하기 위해 찬성한다는 의견과 시민들의 공간인 간절곶 공원에 대형 태극기 등 국가상징조형물을 설치하는 것이 지나치게 애국주의적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울주군은 13일까지 설문조사 마감 후 이달 말까지 의견 취합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시민연대는 이날 논평을 통해 “울주군이 과거 1970~1980년대 군사정권 시절에서나 행함 직한 대형 국기 게양대 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두고 시민들은 ‘세금을 왜 이런 곳에다 쓰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비판 일색이다”며 부정적인 여론을 전했다.
지자체가 추진하는 조형물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울산 남구는 지난달 전선 지중화 사업을 신청한 곳에 13억 조형물 사업을 의회 변경보고도 없이 진행하면서 의회와 불협화음이 계속되고 있다.
앞서 울산시는 작년 기업인 흉상(250억원)을 추진하다가 시민반발에 취소한 바가 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