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 쉬고 토론회 연 의사들…현장 참여 저조해 영향 ‘미미’

Է:2024-07-26 17:37
ϱ
ũ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 공동위원장인 임정혁 대전시의사회장이 26일 오후 서울 의협회관에서 열린 ‘대한민국 의료 사활을 건 제1차 전국의사 대토론회’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 의사들이 26일 휴진하고 토론회를 열었지만 의료 현장에 미친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파악됐다. 금요일인 이날은 다른 요일보다 외래 진료가 적은 편인 데다, 휴진하고 토론회에 참석한 의사들이 예상보다 많지 않아서다.

이날 의료계에 따르면 의료계 협의체인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는 서울 대한의사협회(의협) 회관에서 ‘제1차 전국의사 대토론회’를 열었다. 현장에는 의대 교수를 포함한 여러 직역의 의사 30여명이 참석했다. 온라인으로 토론회에 참석한 의사들은 400~500명 정도였다.

의협은 현장에 100여명의 의사가 모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 참석 인원은 절반에 못 미쳤다. 저조한 참여율로 인해 애초 우려했던 것과 달리 의료 현장에서 혼란이 빚어지는 일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빅6’ 병원 중 하나인 서울의 한 대형병원 관계자는 “평소와 다를 게 전혀 없다”고 했고, 다른 병원 관계자도 “환자 수를 비교해 봐도 다른 날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국가가 전공의들의 수련을 책임져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박용범 대한의학회 수련교육 이사는 ‘현 수련제도의 문제점 및 개편 방안’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전공의 수련교육 국가 책임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이사는 미국과 영국의 사례를 예로 들었다. 그는 “2014년 기준 미국 정부는 전공의 수련교육에 지도전문의 인건비, 전공의 급여, 수당 등을 포함한 직접 지원으로 연간 3~4조원을 투입했다”며 “영국 정부 역시 전공의 수련에 매년 2~3조원의 예산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내에서도 전공의 급여와 교육훈련비, 지도전문의 교육비를 정부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전공의를 가르치는 ‘지도전문의’에 대한 보상을 늘려야 한다고 했다. 전공의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도전문의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고, 국가가 이를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 이사는 “미국의 ‘책임지도 전문의’는 업무의 30~40%를 전공의 교육과 평가에 투자하고, 정부는 이들에 대한 비용을 지원해 준다”며 “한국도 지도전문의 비용을 국가가 지원해 이들이 전공 교육 프로그램을 잘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