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권 지자체, 공동발전 위해 의기투합

Է:2024-07-01 09:41
:2024-07-01 15:02
ϱ
ũ

7년 만에 광주, 전남·북 정책협의회
광주 전남 경제공동체 구축 첫발
최대 현안 민간·군 공항 이전논의.


호남권 지자체들이 지역소멸을 막고 공동번영을 꾀하기 위해 발걸음을 맞춘다. 코로나19 여파와 현안을 둘러싼 이견으로 소원하던 광역·기초단체들이 광역경제권 구축과 지역발전을 위한 논의에 착수한다.

1일 광주시에 따르면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지사, 김관영 전북지사가 4일 오전 전북 정읍 JB금융그룹 아우름 캠퍼스에서 ‘호남권 정책협의회’를 개최한다.

호남권 3명의 광역단체장은 호남권 메가시티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공동 선언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선언문에는 초광역 교통망, 신재생에너지·바이오·모빌리티 등 지역별 특화 미래 산업 육성, 초광역 협력체계 등과 관련 내용도 포함된다.

광역단체장 3명의 회동은 2017년 3월 나주 중흥골드스파리조트에서 열린 정책협의회 이후 7년 만이다. 3개 광역단체는 지난달 27일 전북에서 정책협의회에 상정할 구체적 안건 논의를 위한 실무협의회를 가진 바 있다.

모처럼 개최하는 3개 광역단체 정책협의회는 올들어 출범한 전북특별자치도와 특별자치도 전환을 추진중인 전남도, 광주시가 공동의 장기적 발전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앞선 2017년 정책협의회에서는 당시 윤장현 광주시장과 이낙연 전남지사, 송하진 전북지사가 ‘전라도 천년 기념사업’ 등 7개 분야 30개 공동사업을 통해 호남권 협력·발전 방안을 추진하는 데 합의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더 긴밀하게 손발을 맞추고 있다. 시·도는 지난달 26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광주전남 상생발전 실무위’를 갖고 경제공동체 구축을 위한 첫걸음을 뗐다. 시·도는 기존 37개 협력과제 이행사항 점검과 함께 신규 협력·장기 검토 과제를 발굴하는 데 머리를 맞댔다.

시는 실무위에서 재생에너지 생산·소비 협력체계 구축, 분산 에너지 활성화 공동협력, 광주·전남 반도체 인재 양성, 개방형 광역 수장보전센터 건립 등을 7건을 신규 과제로 제시했다.

도는 초고속 자율차 기술개발,. 기반시설 구축, 호남권 인공지능(AI) 융합 지능형 농업생태계 구축,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광주·전남 메가시티 분과위원회 구성 등 11건을 제안했다.

시와 도는 또 최대 현안인 ‘민간·군공항 이전’ 논의에도 본격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시와 도는 7월 중 그동안 이전 방안을 두고 줄다리기만 거듭해온 무안군수까지 첫 동석하는 3자 회동에 전격 합의했다.

지난해 12월 강 시장과 김 지사는 광주 민간·군 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동시에 옮기는 데 노력하자고 합의했다.

하지만 해당 지자체인 무안군이 여전히 ‘반대’ 의사를 굽히지 않으면서 공항이전 논의는 6개월 넘게 아무 진척이 되지 않고 있다. 우여곡절 끝에 성사된 광주시장·전남지사·무안군수 3자 회동이 중요 현안을 해결하는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는 배경이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광역·기초단체 가릴 것 없이 지역소멸을 막고 지속 가능한 공동발전 방안을 찾는 자리에는 언제든 적극 나서야 한다”며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이견을 조율하고 갈등을 조정하는 게 가장 중요한 단체장 임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