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가덕신공항 건설과 관련 “동남권 관문공항에 걸맞은 시설과 운영체계를 위해 ‘가덕신공항 활주로가 1개뿐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필요한 부분을 경남도가 정부에 적극 건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13일 경남도청에서 열린 실국본부장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박 지사는 “가덕신공항건설공단이 가동되는 등 공항 조성의 실무적인 부분들이 시작되고 있다”고 언급한 뒤 공항 건설과 관련해 경남도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정부의 가덕신공항 계획에 보면 활주로가 1본인 데다 폭도 45m, 길이 3.5km 정도다”며 “활주로에 문제가 생길 경우 가덕신공항 기능 자체가 멈추는 결과를 가져온다. 24시간 운영돼야 할 동남권 관문공항으로는 시설이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가덕신공항건설공단이 이날부터 본격 가동된다. 이전까지 운영되던 가덕신공항건립추진단 업무를 단계적으로 이관받아 국제여객터미널 국제공모 업무 등을 진행하며 2029년 12월 말 공항 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 지사가 언급한 가덕신공항 활주로 2개 확장 요구는 부산·경남에서 지속 제기되고 있는 문제다. 그는 “국제공항 규모에는 최소 2본 이상의 활주로가 필요하고, 폭도 60m는 돼야 한다”며 “시설 보완점에 대해 재차 검토하고, 정부에 적극 건의하라”고 지시했다.
또 도내 조선소 중대재해 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도 주문했다. 박 지사는 “최근 도내 조선소 중대재해 사고가 빈번하다는 언론 지적이 있었다”며 “경남 주력산업은 중장비를 활용하는 산업이 많아 인명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 박 지사는 “유관기관, 기업 CEO들의 중지를 모아 중대재해 예방 대책을 논의해 경남도 차원의 대책 마련과 정부에 적극 건의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정부에 건의할 내용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건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상기후에 따른 도민 피해 예방을 위한 집중적인 행정도 당부했다. 그는 “이상기후가 농작물 작황에 악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물가 폭등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농업 관련 부서는 본격 우수기 시작 전 각종 수해 방지시설 점검”을 당부했다.
이외 박 지사는 창업 지원과 관련 청년들이 선호하는 서비스업 등 소규모 창업 지원 체계의 필요성과 기관 중심의 기능별 복지시스템을 보완할 마을 단위 통합 복지 서비스로의 전환 검토를 지시했다.
또 도내 각 지역축제 행사에서 과도하게 요금을 올려 폭리를 취하는 음식점 등에 대한 행정지도도 당부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