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에서 해녀 수가 가장 많은 제주도와 경북도가 살아있는 문화유산인 해녀 보전에 고군분투하고 있다. 제주도는 재정 지원 확대라는 당근책을 꺼내 들었고, 경북 울진군은 해녀는 물론 해남 양성까지 신규해녀 늘리기에 두 팔을 걷어붙였다.
제주도는 세계중요농어업유산인 제주해녀어업의 미래를 위해 신규해녀 양성 추진계획을 확정해 본격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골자는 신규해녀 확대다.
우선 제주도는 어촌계와 수협 등 해녀 관련 단체와 민관협업시스템을 구축하고, 신규해녀의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해녀 감소 추이의 위기 상황을 공유해 단체별 신규해녀 수용 기준을 낮추도록 유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제주에서 해녀가 되기 위해서는 해녀학교를 졸업한 뒤 인턴해녀를 거쳐 어촌계에 신규해녀로 가입해야 한다.
하지만 입회비가 어촌계에 따라 200만원~1000만원, 수협 출자금은 200만원~800만원에 이른다. 수입이 없는 인턴해녀 기간 역시 어촌계별로 최소 1년에서 3년까지다. 신규해녀도 어촌계 총회 결정에 따라 받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신규해녀가 되기 위한 시간과 경제적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제주지역 신규해녀 수는 은퇴해녀 수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최근 5년(2019~2023년) 간 신규해녀 수는 171명, 같은 기간 은퇴해녀 수(663명)의 25%에 그쳤다.
도내 해녀학교 졸업자(1150명) 중 어촌계 가입 비율도 10.3%(119명)로 열 명 중 한 명 정도다.
도는 신규 진입이 어려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가입 절차 완화, 가입 우수 어촌계에 재정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도는 신규해녀에게 월 50만원씩 3년간 지급하는 초기 정착금 지원 연령을 40세 미만에서 50세 미만으로 확대하고, 인턴해녀들에게는 잠수복을 지원하기로 했다.
기존해녀와 인턴해녀 간 물질기술 전수가 이뤄질 수도록 1:1 멘토링제에 참여하는 기존해녀에게 교육 수당을 지급한다.
해녀교육 대상자를 늘리기 위해 현재 2곳인 해녀학교를 내년부터 동부지역에 1곳 더 확대할 예정이다.
해녀학교 교육과정을 표준화하고, 해녀공동체 이해 교육과정도 새롭게 운영할 방침이다.
경북 울진군은 사라져 가는 해녀문화를 지키기 위해 해남·해녀 양성에 나섰다.
울진군은 지난해 10월 해남해녀교육을 시범운영한 데 이어 올해 정식으로 양성교육을 시작했다.
군은 이달 2일까지 1기 교육생 모집을 진행해 61명의 지원자를 받고 최종 30명을 선발했다. 선발된 교육생 중 18명은 남성이다. 군은 교육생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해녀 수가 가파르게 감소하면서 지난해 경북 동해안 해녀들은 경북도해녀협회를 출범시켰다.
경북도해녀협회는 앞으로 청년들에게 해녀 어업을 전수하는 해녀학교 운영 등 경북지역 해녀 보전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지난해 기준 경북도에서 활동하는 해녀는 1245명이다.
한편 제주도 해녀는 1970년 1만4143명에서 2000년 5789명, 2010년 4995명으로 줄었고, 지난해 3000명 아래로 떨어졌다.
현재 2839명으로, 70세 이상이 60.3%를 차지한다.
제주 해녀는 국가중요어업유산,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국가무형문화재, 유엔식량농업기구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됐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 울진=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