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 IoT 테스트필드 구축과제 실증 수요기관에 선정

Է:2023-05-23 10:52
ϱ
ũ
인천항만공사 신사옥 IBS타워. IPA 제공

인천항만공사(IP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고 인천테크노파크에서 수행하는 ‘2023년 사물인터넷(IoT) 테스트필드 구축과제’ 공모에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이에 IPA는 인천테크노파크와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능형 사물인터넷(AIoT)-디지털 트윈 기반 항만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안전해(海)) 구축사업’을 추진한다.

IoT 테스트필드 구축과제는 공간·인프라 등 실증 자원을 보유한 실증 수요기관과 기술력 및 사업화 의지가 높은 테스트필드 구축 기업인 실증인프라 구축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재난·안전 분야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최신 IoT 기술을 접목한 인프라·서비스 등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축적된 실증 데이터·공간 등은 향후 디지털 기술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관련 분야 IoT 벤처·중소 기업에 제공된다.

앞서 IPA는 IoT 테스트필드 구축과제 참여를 위해 지난 3월 AIoT 및 디지털 트윈 분야 기술 전문성을 보유한 중소기업 글로벌브릿지, 심시스글로벌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안전해 구축사업을 지원과제로 제출했다.

IPA는 과제 수행을 위해 11월까지 인천항 국제여객부두에 화물차 과속 단속 및 선박 이용객 위험 감지를 위한 인공지능형 CCTV, 하역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지능형 IoT 센서(UWB), 작업자와 장비 간 위험 감지를 위한 BLE 비콘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디지털 트윈 모델링 활용 재난·안전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도 구축한다. UWB는 매우 넓은 대역에 걸쳐 낮은 전력으로 대용량의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 기술이고, BLE 비콘은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 정보 전달을 위한 저전력·저용량 데이터 송수신 블루투스 기기다.

IPA는 과제 수행을 통해 축적되는 데이터와 실증공간(선석·야적장), 스마트폴 센서 등 테스트필드 실증인프라를 과제 완료 후 3년간 IoT 관련 벤처·중소기업에 개방하고 다양한 재난·안전 제품 및 서비스를 현장에서 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스마트폴은 CCTV, 스마트함체, 조명 등 인프라에 IoT 기술을 결합한 시설을 의미한다.

IPA는 이번 사업이 항만의 안전 사각지대 해소와 중대시민재해 및 중대산업재해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근영 IPA 건설부문 부사장은 “이번 IoT 기반 항만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사업을 통해 빈틈없는 항만 안전을 확보하고 모든 작업자와 이용객이 인천항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혁신기술을 활용해 인천항이 미래형 스마트항만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