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차 수도권 공공기관 지방 이전이 가시화됨에 따라 충남도가 중점 유치 대상인 34개 기관을 선정해 발표했다.
도는 충남혁신도시에 유치할 공공기관으로 ‘우선선택권(드래프트제)’ 적용 13개, 탄소중립·문화체육·중소벤처 등 충남 특화 기능군 21개 등 총 34개 기관을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프로스포츠에 사용되는 드래프트제는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제안한 제도다. 김 지사는 충남이 과거 세종시 건설을 이유로 혁신도시 지정 대상에서 제외됐고, 2020년 10월 혁신도시로 지정됐음에도 후속 절차가 없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드래프트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드래프트 방식을 적용하면 충남이 특정 공공기관을 선정해 먼저 배정받고 나머지 기관을 전국에 배분하게 된다.
드래프트제 적용 대상 13개 기관은 본사 종사자가 500명 이상인 기관 9개, 100명 이상인 기관 4개이며 총 종사자 수는 9000여명이다.
500명 이상의 대형 기관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환경공단, 한국원자력의학원, 사회보장정보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우체국금융개발원, 한국국방연구원 등이다.
100명 이상 기관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우편사업진흥원,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등이다.
탄소중립 관련 기관은 전국 석탄화력발전소의 절반이 충남에 밀집한 점과 지난해 도가 ‘탄소중립경제 특별도’를 선포한 점을 감안해 선정했다.
대상 기관은 한국지역난방공사와 해양환경공단, 한국석유관리원, 환경보전협회 등 10개 기관이며 총 종사자 수는 1300여명이다.
문화체육 기능군은 한국체육대와 한국학중앙연구원 등 7개 기관, 중소벤처 기능군은 공영홈쇼핑·중소기업유통센터 등 4개 기관을 유치한다. 도는 대정부 건의 및 해당 기관 설득 등 투트랙 전략으로 기관 유치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기관의 원활한 유치를 위해 충남혁신도시인 내포신도시의 정주여건 개선 작업도 병행한다. 영재고 설립과 이주 직원 주거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2026년에는 종합병원을 개원한다는 방침이다.
송무경 충남도 공공기관유치단장은 “충남혁신도시의 가치를 높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 대형 공공기관을 유치하겠다”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