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20일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자료 유출과 관련해 “자료 유출이 우리 학생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에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며 머리를 숙였다.
그러면서 임 교육감은 “적극적인 경찰 수사 협조와 철저한 자체 시스템 점검을 통해 학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며 “이번 사안을 계기로 도교육청이 주도하는 디지털 플랫폼 구축에 완벽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유출된 자료는 도교육청 자체 시스템으로 관리해왔다.
다만 임 교육감은 “자료 유출이 해킹에 의한 것인지 시스템 문제인지 사실 관계 확인이 필요하다”면서 “이번 사안에 대해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에 최대한 협조하고 내부 시스템을 점검하고 보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임 교육감은 “학생들에게 개별로 연락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우선 도교육청 누리집을 통해 사과 입장을 발표하고 후속 대응 조치를 안내했다”며 “추가 대처와 함께 비상상황실을 가동해 궁금한 점, 피해 상황 등 문제에 대해 성실하게 답변하고 구제 방법을 안내하겠다”고 말했다.
도교육청은 현재 자료가 돌아다니지 않도록 예방조치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전문가들과 함께 시스템을 보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교육청은 이날 한정숙 제2부교육감 주재로 대응 회의를 열고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팀’을 구성, 유관기관과 협력해 철저한 사고분석과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했다. 북부청사 3층에는 비상상황실을 설치하고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민원 대응,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피해구제 절차 등을 안내하고 있다.
지난 19일 새벽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네티즌 1명이 도교육청 서버를 해킹해 지난해 11월 도교육청이 주관한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암호화 메신저앱인 텔레그램에는 ‘2학년 개인성적표 전체’라는 파일이 유포됐다.
이 파일에는 전국 15개 시·도교육청(경남교육청, 충남교육청 제외)에서 이 시험에 응시한 전국 고2 학생 30여만 명의 시험 성적과 소속 학교, 이름, 성별 등이 담겨져있다.
주민등록번호나 휴대전화 번호 등은 담기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도교육청은 유포된 파일을 확인하고 같은 날 서울경찰청에 해킹 여부에 대한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