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교육청이 학력평가 성적 유출과 관련 피해 상황실을 운영하고, 경찰은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해 11월 치러진 전국연합학력평가에 응시한 학생들의 성적과 이름, 성별 등이 담긴 파일이 인터넷에 유포된데 대해 피해 사항을 접수하는 긴급 상황실을 운영한다고 20일 밝혔다.
도교육청은 상황실을 통해 다른 시·도교육청들과 공동 대응에 나서는 한편 피해 접수 시 구제 절차 등의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도교육청 홈페이지에 “성적자료 유출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드리며,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는 내용의 사과문도 게시했다.
임태희 교육감은 “유출된 자료는 도교육청과 도교육청이 위탁해 전국연합학력평가 시스템을 관리한 업체 등 2곳이 갖고 있는데 이 중 어느 쪽에서 유출됐는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며 “경찰 수사와 별개로 자체 보안점검을 했으며 앞으로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잘못된 부분을 찾아 바로잡겠다”고 말했다.
서울경찰청으로 이 사건을 넘겨받아 수사에 나선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는 도교육청 측이 해킹 여부에 대해 수사 의뢰한 사건을 배당받아 들여다보고 있다.
경찰은 도교육청 서버 등을 조사하며 자료의 유출 경로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 해당 파일 외에 추가로 유출된 자료가 있는지 등도 확인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해당 사건 관련해 지속해서 모니터링을 하며 개인정보 유출 피해가 우려되는 자료에 대해 삭제 등 조처를 하고 있다”며 “자세한 수사 내용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9일 새벽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네티즌 1명이 도교육청 서버를 해킹해 지난해 11월 도교육청이 주관한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암호화 메신저앱인 텔레그램에는 ‘2학년 개인성적표 전체’라는 파일이 유포됐다.
이 파일에는 전국 15개 시·도교육청(경남교육청, 충남교육청 제외)에서 이 시험에 응시한 전국 고2 학생 30여만 명의 시험 성적과 소속 학교, 이름, 성별 등이 담겨져있다.
주민등록번호나 휴대전화 번호 등은 담기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도교육청은 유포된 파일을 확인하고 같은 날 서울경찰청에 해킹 여부에 대한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