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도가 올해 벼 경영안정대책비 570억원을 지급키로 했다. 2022년 1월 1일부터 전남에 계속해서 주소를 두고 전남 농지에서 직접 벼를 재배하는 농업인의 경영안정을 위해서다.
농가별 2ha 한도로 직불금 형태로 지급한다.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 참여 농지와 벼 재배면적 감축 협약 가입 농지는 예외적으로 포함해 지원한다.
다만 농업 외 종합소득이 연간 3700만원 이상이거나, 0.1ha 미만으로 벼를 재배하는 농가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다.
올해 전남지역 12만6000여 농업인이 지원 대상이며, 평균 지급 단가는 ha당 66만원이다.
벼 경영안정대책비는 전남도가 쌀 시장개방과 자연재해 등으로 어려운 쌀 산업 유지와 벼 재배 농가의 소득 보전 및 경영안정을 위해 2001년 전국 최초로 시행해 지속 지원하고 있다. 정부가 지원하는 공익직불금과 전남도에서 지원하는 농업인 공익수당 외에 추가로 지급하는 자금이다.
2001년 180억원으로 사업을 시작해 지난해까지 투입한 총사업비는 9690억원에 달한다. 이는 벼 재배 농가에 경영안정대책비를 지원하는 7개 광역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규모다.
정원진 전남도 식량원예과장은 19일 “농가에 지원하는 벼 경영안정대책비가 농자재·유류 가격 상승 등으로 어려운 벼 재배 농가의 경영 안정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