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덕도 신공항에서 오시리아 관광단지까지 부산의 도심을 가로지르는 차세대 부산형 급행철도(BuTX) 건설이 추진된다.
부산시는 12일 부산시청에서 시민 공청회를 열고 BuTX 도입 계획안을 발표했다.
BuTX는 가덕도 신공항에서 강서구 명지동, 사하구 하단동, 2030부산세계박람회 개최 예정지인 부산항 북항(부산역), 해운대구 센텀시티를 거쳐 오시리아 관광단지에 이르는 47.9㎞ 구간에 초고속 대중교통 인프라를 갖추는 사업이다. 시는 노선과 정거장은 주변 지역의 개발계획, 인구밀도, 유동 인구, 통행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사업의 타당성이 확보되는 노선으로, 6개소 정거장을 계획했다고 밝혔다.

계획안에 따르면 수소 전동차가 지하 40m 이상 대심도 지하터널(루프)을 최고속도 시속 198㎞, 주행속도 시속 180㎞로 운행하도록 한다. 계획대로라면 가덕도 신공항에서 부산역까지 15분, 오시리아 관광단지까지는 25분이면 이동할 수 있다.
부산시는 하이퍼튜브 캡슐 차량 도입과 고속 전동차, 수소 전동차를 놓고 사전 타당성 용역을 진행한 결과 수소 전동차가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수소 전동차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하는 자율 주행 운영 시스템을 도입해 24시간 운행한다는 계획이다.
하이퍼튜브 캡슐차량은 진공에 가까운 튜브에 자기력으로 차량을 부상·추진해 최고 시속 1200㎞ 이상으로 주행이 가능해 박형준 부산시장이 도입을 공약으로 내걸었었지만, 2030부산세계박람회 이전 구축이 어렵다는 분석이 나왔다. 수도권 GTX에 도입 예정인 고속 전통차도 도입 가능성을 검토했지만 경제성, 친환경성 등을 고려해 수소 전동차가 더 적합하다고 봤다.

총사업비가 2조5860억원으로 추산되는 BuTX는 2026년에 착공해 2030년에 개통한다는 목표다.
박형준 시장은 “BuTX는 심각한 도심 교통 문제를 해소하고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와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기반 시설로 활용될 것”이라며 “동부산에서 서부산으로 이동하는데 1시간 이상 걸리던 기존 도로나 철도와 비교해 50분 이상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