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전주시 에코시티내 기무부대 부지가 5년째 방치돼 도심 속 흉물로 전락하고 있다. 이에 지역 주민들의 원성과 함께 활용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24일 전주시에 따르면 민간인 사찰 논란으로 2018년 9월 기무사령부가 해체된 이후 송천동에 있는 기무부대 터가 수년째 개발이 안되고 있다.
이 부지는 3만여㎡ 규모로 전주시가 친환경 주거단지로 개발한 에코시티의 중심상업지역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개발이 늦어지면서 주변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밤이면 우범지역으로 변하고 있다고 주민들은 지적하고 있다.
부지 개발이 늦어지는 것은 국방부가 전주시에 매각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는 반면, 전주시는 매입 비용과 개발 예산을 마련하지 못해서다. 시는 매입에 300억~400억 원, 개발에 300억 원 등 모두 700억 원 가량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당초 시는 공원, 체육시설, 주차장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했지만 예산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그 사이 해당 부지는 땅값이 크게 오른 노른자위 땅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주민들과 인근 상인들은 불만의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이들은 전주시에게 에코시티 개발 수익의 환원을 통한 적극적인 개발 의지를, 국방부에겐 그동안 35사단과 항공대대, 기무대의 소음 등을 참아가며 군부대 유지에 협조해온 지역 주민들에 위한 통 큰 결정을 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국방부가 땅값 상승에 맞춰 매매비용을 받겠다는 것은 도시 확장과 에코시티 개발로 인한 이득을 국가가 가져가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꼬집었다.
주민과 상인 등은 최근 에코시티 총연합회를 구성하고 기무대 부지 활용과 인근 저수지 연계 개발 등을 촉구했다.
진보당 전주시지역위원회도 지난 해 10월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송천동 옛 전주기무부대 부지의 주민들을 위한 시설 활용을 주장했다. 이들은 “국방부가 지자체 양여 방침을 시유지 교환 또는 매각방침으로 바꾸면서 꼬이기 시작했다”면서 “타 지역은 문화공간 등으로 재탄생 시켰는데도 전주시는 아무런 대책 없이 시간만 보내고 있다”고 비난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주민의 공공복리 향상에 활용될 수 있도록 대상 부지의 지역사회 환원을 적극 건의하는 한편 국가사업을 통해 지역발전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기재부의 ‘국유지활용 선도사업’ 모집에도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