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분양시장이 금리 인상 여파 등으로 경직되면서 복합문화공간 아트센터인천의 운영비 충당을 위한 아트포레 2차 조성사업의 난항이 예상된다. 분양 실패 이후 사업 정상화를 위한 설계변경 과정에서 불거졌던 특혜 논란 역시 반복될 우려가 크다.
인천도시공사(iH)와 인천아트센터㈜(IAC)는 내년 상반기 중 아트포레 2차의 설계변경 관련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공사를 다시 시작하기 위한 재분양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아트포레 2차 조성사업은 지난 2020년 3월 착공 당시 국제업무단지 G3-1블록(연수구 송도동 84)에 약 4만3300㎡의 판매시설, 문화·집회시설, 업무시설을 만드는 프로젝트로 추진됐다. 이 중 2만9300㎡(판매시설 82실·영업시설 1실·영화관 5실)에 대해서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기부채납을 받은 뒤 임대해 매년 수익을 거둘 예정이다. 인천경제청이 추정하는 연간 수익 규모는 28억7000만원이다. 이는 아트센터인천 운영비(연간 150억원 추산)로 쓰인다.
시행사는 특수목적법인(SPC)인 IAC다. IAC의 지분 구조는 iH 19.5%를 제외하고 ㈜씨엠아이 31%, ㈜대우건설 19.5%, 한국자산식탁㈜ 12.5%, ㈜더블유스퀘어프라퍼티즈 10%, ㈜엠앤엠프로덕션 5% 등 78% 이상이 민간기업으로 이뤄져 있다.
IAC는 지난 2020년 12월 분양 실패에 따른 사업비 부족으로 아트포레 2차 조성 공사를 중단한 뒤 지난해 말부터 설계변경을 추진하면서 이미 한 차례 특혜 논란을 샀다. 인천경제청과 IAC가 아트포레 2차의 용적률을 법정 상한치(300%)까지 상향하는 내용 등의 설계변경을 승인하기로 사전협의를 했기 때문이다. 현재 약 5만5700㎡로 몸집을 키운 아트포레 2차 설계변경은 지난 7월 27일 인천경제청 경관심의를 통과한 상태다.
인천경제청과 IAC는 당시 특혜 논란을 인정하면서도 분양가를 낮추기 위해 설계변경이 필요했고 기부채납될 면적·시설 변경에 따라 사전협의가 이뤄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건설업계에서는 최근 금리 인상 여파 등으로 송도의 분양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아트포레 2차 설계변경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인천경제청과 iH 내부적으로도 송도의 판매시설이 포화 상태에 이른 것으로 보고 아트포레 2차 재분양의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아트포레 2차 바로 옆에 조성된 아트포레 1차의 1층 공실률은 준공으로부터 3년이 지난 현재까지 50%를 넘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또 2년 가까이 공사가 중단되면서 그동안 오른 자재값 상승 등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송도와 같은 인천경제자유구역인 청라국제도시 내 시티타워의 공사비는 시행사·시공사 갈등으로 1년여간 착공이 지연되는 과정에서 60% 이상 급증한 상태다.
앞으로 아트포레 2차가 다시 분양에 실패하면 설계변경을 넘어선 과도한 특혜 요구가 반복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해 4월 IAC는 iH와 사업 정상화를 협의하면서 용도변경 등을 먼저 논의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심지어 IAC는 인천시가 아트센터인천의 관리·운영을 위해 설립할 아트센터 운영재단이 아트포레 2차를 매입하는 방안을 iH에 요구하기도 했다. 민간기업이 지배하는 SPC의 건물을 인천시 예산으로 사들이라는 요구다.
iH 관계자는 “아트센터 운영재단이 아트포레 2차를 매입해야 한다는 요구가 IAC로부터 나왔던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iH는 당시 요구의 수용 여부를 결정할 입장도 아니었고 지방공기업으로서 받아들일 수도 없는 일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송도의 분양시장이 경직돼 내년 상반기 아트포레 2차 재분양이 성공할지 장담하기는 어려운 상황인 것은 맞다”면서도 “더는 공사가 늦어지지 않도록 IAC와 잘 협의해 재분양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