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정부 장·차관들의 평균 재산이 국민 평균의 8배에 달한다는 시민단체 주장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6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윤석열정부 장·차관 41명 보유 재산 및 이해충돌 현황’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를 제외한 현 정부 장관 16명, 차관 25명의 재산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경실련이 장·차관들의 재산신고 내역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의 평균 재산은 약 32억6000만원으로 국민 평균의 8배에 달했다. 평균 부동산 보유액도 21억3000만원으로 국민 평균의 5.5배에 이르렀다.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이는 약 160억4000만원의 재산을 신고한 이종호 과기부 장관이었다. 64억2000만원을 신고한 이노공 법무부 차관과 59억8000만원을 신고한 이도훈 외교부 제2차관이 뒤를 이었다.
부동산 재산은 법무부 장·차관이 나란히 1·2위를 차지했다. 이 차관이 63억10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53억1000만원으로 두 번째였다.
경실련은 과도한 부동산을 보유해 임대 행위가 의심되는 장·차관도 16명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 이종섭 국방부 장관 등 7명은 2주택 이상 보유자였다. 한동훈 장관, 이창양 산업통상부 장관 등 5명은 비주거용 건물을 보유했고 박보균 문체부 장관, 권기섭 고용노동부 차관 등 4명은 대지를 보유했다.
부동산 가격을 시세가 아닌 공시지가나 공시가격으로 축소 신고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시세와 신고 액수의 차이가 가장 큰 공직자는 시세 57억8000만원의 아파트를 33억원에 신고한 조현동 외교부 제1차관이었다. 이 밖에도 이노동 차관, 한동훈 장관 등이 10억원 이상을 축소해 신고했다.
경실련은 “이번 조사로 과도한 부동산을 보유한 윤석열정부의 장·차관이 공직에 전념할 수 있는지 의구심이 높아졌다”며 “임대행위가 의심되는 16명은 실거주·실사용 외의 부동산을 처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의재 기자 sentinel@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