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째 지지부진…청주시청 착공 시기 ‘불투명’

Է:2022-09-06 11:49
ϱ
ũ

옛 본관 건물 철거 전면 수정 가닥
이범석 시장 “문화재적 가치 없다”

2020년 7월 국제 공모를 통해 선정된 청주시청 신청사 조감도. 민선 8기 들어 이 설계작은 본관 건물을 철거하는 방향으로 수정될 것으로 보인다. 청주시 제공.

충북 청주시의 숙원사업인 새 청사 건립 계획이 7년째 지지부진하다. 민선 8기 들어 장기간 존치와 보존을 두고 논란이던 청주시청 옛 본관을 철거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올해 예정된 착공 시기도 불투명해졌다.

이범석 청주시장은 6일 제72회 청주시의회 제3차 본회의에서 “청사 본관은 문화재적 가치가 없다”며 “신청사가 청주의 랜드마크가 되도록 본관을 철거해야한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본관을 철거해 지하 주차장 확대하고 공간 활용성을 높여야한다”며 “본관 철거 문제는 전체 청사부지의 효율적 활용 여부, 보존할 문화재로서의 가치 여부, 원도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민선 7기에서 존치 결정한 옛 시청 본관을 철거하고 그 공간을 포함한 밑그림을 다시 그린다는 구상이다. 본관 보존하는 조건으로 2020년 7월 국제 공모를 통해 선정된 설계 작품을 전면 수정하겠다는 것이다.

시는 당초 이 설계 작품을 토대로 올해 공사에 들어가 2025년 하반기까지 현 시청사 일대를 포함한 2만8000여㎡ 터에 2750억원을 들여 신청사를 짓는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 시장이 취임하자마자 신청사 건립사업 재검토를 위한 별도의 태스크포스(TF)팀을 가동하는 등 신청사 착공 시기가 기한 없이 연기됐다.

시민단체들은 옛 청사 본관 철거 움직임에 대해 반대하고 나섰다.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는 “본관 존치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결정한 사안”이라며 “명분 없는 철거 추진을 중단하고 문화유산 보존에 노력하라”고 촉구했다. 참여연대는 “신청사 설계비로 100억원 가까이 들었는데 본관을 포함해 다시 설계할 경우 혈세 낭비는 물론 행정의 공신력을 떨어뜨리게 된다”고 지적했다.

논란이 된 본관은 1965년 3층으로 건립된 뒤 1983년 4층으로 증축됐다. 문화재청은 2017년 이 건물이 비대칭 형태를 띠는 등 근현대 건축양식을 알 수 있는 자료로 보존 가치가 크다고 판단하고 시에 문화재 등록을 권고했다.

시는 2018년 새 청사 건립계획을 수립하면서 이 건물 존치를 결정했지만 문화재 등록 절차는 밟지 않았다.

신청사 건립사업은 2014년 7월 통합 직후부터 논의돼 청주시 자율통합 기반 조성 명목의 국비를 확보한 2015년부터 본격 추진됐다. 부지는 현 청주시청사 일대로 결정됐다. 일부 건물의 철거 작업은 지난 6월부터 시작됐다. 문화제조창과 옛 청원군청 등을 임시청사로 활용하고 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