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제주에서 500㎞, 부산에서 780㎞ 거리까지 북상한 가운데 제주 마라도 CCTV 영상에 거센 파도와 함께 비바람이 불어닥친 모습이 포착됐다. 태풍이 근접하면서 5일과 6일 전국 대부분 지역은 많은 비와 함께 강풍이 불 것으로 전망된다.
5일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힌남노는 새벽 6시 서귀포 남남서쪽 약 480㎞ 해상을 지났다. 현재 시속 21㎞로 북진하고 있다. 중심기압 935hPa(헥토파스칼), 최대풍속 초속 49m의 ‘매우 강’ 강도의 세력을 유지하고 있다. 강풍 반경은 430㎞에 이른다.
이에 따라 제주도와 제주 전해상, 남해 먼바다에는 태풍 경보가 발령됐다. 힌남노는 곧 북위 30도선을 넘어 이날 정오 무렵 서귀포시 남남서쪽 370㎞ 해상에 이른 뒤 우리나라로 방향을 틀 것으로 예측된다.

제주 마라도에 설치된 KBS 재난감시 CCTV에는 이날 오전 8시 무렵 거센 바람과 함께 파도가 크게 일렁이는 모습이 포착됐다. 비바람으로 인해 CCTV는 덜덜 떨리고 있었다. CCTV 렌즈는 빗방울이 맺혀 흐릿해져 있었다.
기상청은 5~6일 전국에 100~300㎜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한다. 이미 태풍으로 인해 많은 비가 내리는 제주에는 산간지역에 600㎜ 이상 비가 더 온다. 남해안·경상동해안·제주(산지 제외)·지리산 부근·울릉도·독도에는 400㎜ 이상 비가 올 수 있겠다.
제주산지에는 5일 7시10분까지 7시간 동안 150㎜ 내외 비가 쏟아진 곳이 있다. 제주와 남해안에 비가 시작한 1일부터 누적 강수량은 제주 대부분 지역이 100㎜가 넘으며 산지는 500㎜가 넘는 곳이 있다.
호우 시간대는 제주·남해안의 경우 6일 새벽까지, 중부지방은 5일 오후부터 6일 새벽까지, 남해안 외 남부지방과 강원영동은 5일 밤부터 6일 아침(동해안은 6일 오전)까지로 예상된다.
전국적으로 강풍 역시 몰아닥칠 것으로 관측된다. 제주·전남남해안·경남해안·울릉도·독도에는 최대순간풍속이 40~60㎧(시속 145~215㎞) 내외인 초강풍이 불겠다. 제주 한라산 삼각봉엔 5일 오전 5시22분 순간풍속이 34.5㎧(시속 124㎞)에 달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태풍 때문에 기록된 최대순간풍속 최고치는 60㎧(2003년 9월 12일 제주·고산)이다.
강원영동·경북동해안·전남서해안은 5~6일 최대순간풍속이 30~40㎧(시속 110~145㎞) 안팎, 남부지방(해안 제외)·충청·강원영서남부는 20~30㎧(시속 70~110㎞) 안팎, 수도권·경원영서중부·강원영서북부는 15~20㎧(시속 50~70㎞) 안팎일 것으로 예상된다.
해안가 저지대 침수도 우려된다. 기상청은 5~6일 제주해상·남해상·서해남부먼바다에, 6일부터 7일 오전까지 동해상에 바람이 14~50㎧(시속 50~180㎞)로 불고 물결이 3~12m로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서해상에는 6일까지 바람이 10~20㎧(시속 35~70㎞)로 불고 물결이 2~4m 높이로 높게 일겠다.
기상청 관계자는 “해안 지역에 매우 높은 파도가 방파제나 해안도로를 넘는 곳이 있겠고, 특히 만조 시간대에는 해수면 높이가 더욱 높아져 해안가 저지대를 중심으로 침수 가능성이 있겠으니 피해가 없도록 각별히 유의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