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8민주화운동 희생자들이 안장된 국립5·18 민주묘지(5·18묘지)가 국립묘지 승격 20년을 맞아 중장기 발전방안 마련에 나섰다.
국가보훈처는 “광주 북구 운정동 5·18묘지의 국립묘지 승격 20년을 맞아 참배객과 방문객을 위한 환골탈태를 준비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5·18묘지의 중장기 발전 방안은 세대와 지역을 뛰어넘어 5·18의 산 교육장이자 시민들에게 가깝게 다가서겠다는 국가보훈처의 구상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보훈처 산하 국립5·18민주묘지 관리사무소는 조선대 산학협력단에 5·18민주묘지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의뢰했다.
보훈처는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역사의식 고취와 희생자를 기리는 역사 교육장이자 시민들이 즐겨 찾는 공원으로의 전환을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5·18민주화운동 유공자는 5800명(고인 포함)이 넘지만 1·2 묘역에 안장 가능한 유공자는 이미 매장된 이들까지 포함해 2000기에 불과하다. 제1 묘역은 이미 매장 공간이 없는 상황이다.
5·18묘지를 찾는 참배객들도 대부분 5·18묘지의 상징인 40m 높이의 추모탑과 제단 등을 갖춘 제1 묘역만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제2 묘역은 제단과 참배 편의시설이 없고 비가 오는 날이면 묘역 일부가 물웅덩이가 되는 때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보훈처는 이에 따라 보훈처는 이번 용역에서 향후 안장될 유공자들의 규모를 파악하고 묘역을 확충하는 방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지질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묘역의 토질·투수성 분석, 지형·지리학적 구조도 분석해 대안을 찾을 방침이다.
보훈처는 안장 대상자와 유가족, 5월 단체와 설문조사를 진행하는 등 관련단체 등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5·18묘지의 중장기 발전방안을 정한다는 계획이다.
5·18묘지는 1993년 김영삼 정부 출범 직후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면서 광주시가 중앙정부 지원을 받아 조성하기 시작했다.
1994년 11월 공사에 들어가 1997년 5월 국비 223억원, 시비 38억원 등 261억원을 들여 완공한 5·18묘지는 2002년 7월 국립묘지로 승격됐다.
2006년 ‘국립 5·18민주묘지’로 이름이 바뀐 이곳에서는 광주 금남로 5·18 광장에서 열린 2020년 40주년 정부기념식을 제외하고 2000년부터 보훈처가 주관하는 정부 차원의 기념식이 해마다 열리고 있다.
2011년 9900㎡의 1묘역이 가득 차면서 걸어서 5분 거리인 숭모루와 후문 일원에 2017년 1만 6000㎡ 규모의 2묘역을 조성했다.
황일봉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 회장은 “유공자들은 1묘역 확장을 원하고 있다. 보훈처가 중장기 묘지 발전 방안 수립을 통해 1묘역과 2묘역을 통합하는 방안도 고려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김범태 국립5·18민주묘지 소장은 “용역결과가 연말까지 나오면 연차별 투자 계획, 사업 우선순위를 정해 묘를 발전방안을 추진할 것”이라며 “광주시민과 5월단체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