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 계룡대에서 근무했던 군 초급 간부가 간부 숙소 환경의 열악함을 호소했다.
페이스북 페이지 ‘육군훈련소 대신 전해드립니다’에 ‘25년이 지난 숙소 안내문’이라는 제목의 글이 24일 올라왔다. 계룡대에서 근무했던 초급 간부라고 밝힌 A씨는 “제가 살았던 숙소 사진”이라며 “이런 숙소에서 짧게는 3개월, 길게는 6개월 지낸다”고 설명했다.
A씨가 공개한 숙소 내부 사진을 보면 한눈에 봐도 낡고 허름한 모습이다. 숙소 생활 규칙이 적혀있는 안내문 게시일은 1997년 3일자로 돼 있다. 종이는 누렇게 바랬고 일부는 찢겨 있다.
A씨는 “숙소에 붙어있는 1997년도에 작성된 안내문을 보면 (숙소를) 관리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무성의한지 느껴질 것”이라며 “좁은 화장실을 4명이 사용해야 하고 곰팡이가 그득그득한 옷장에 옷을 수납해야 한다. 숙소가 전혀 관리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관리자에게 항의했지만, 달라지는 것은 없었다는 게 A씨의 주장이다. 그는 “사람마다 개인차는 있었지만, 숙소에 들어와 살면서 기관지염을 호소하는 사람도 적잖이 봤다”며 “사람이 지내지 못할만한 숙소를 주고 ‘리모델링을 조속히 시행하겠다’는 말만 몇 년째 하고 있다”고 했다.
A씨는 간부들이 사비로 부대 근처에 원룸을 구해 나가 사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A씨는 “간부들은 이런 숙소에서 지내다 못해 개인이 원룸을 구해 나가 살고 있는 실정”이라며 “숙소에서 나간 인원들은 한 달에 40만원이 넘는 금액을 지불해가며 밖에서 지내고 있다. 그런데 군인들에게 지급되는 주택수당은 월 8만원”이라고 했다.

A씨는 “병사들의 병영시설도 조속히 개선돼야 하지만 초급 간부들의 숙소도 개선됐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퇴근 후 마음 편히 지낼 수 있는 개인공간이 구비되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앞서 국방부가 2018년 10월 전국 군 간부 숙소를 대상으로 진행한 전수조사에 따르면 숙소 17만 호 중 35%(5만9500호)에 달하는 관사가 즉시 철거가 필요한 ‘심각’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예솔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