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와 민간 연구진이 그동안 축적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함께 코로나19 후유증 연구에 나선다. 방역 정책의 근거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고령층·임신부 같은 건강상의 고위험군은 물론,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코로나19가 미친 피해도 분석한다.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코로나19 빅데이터 기반 민·관 공동연구 과제 12개를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달 19일부터 2주간 총 24개 과제를 공모받아 그중 절반을 추렸다.
선정된 12개 과제는 의료뿐 아니라 사회경제 분야까지 걸쳐 있다. 암 환자의 백신 접종 여부에 따라 감염 가능성과 중증도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델타와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됐을 때 후유증은 어떻게 나타났는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이 코로나19 유행 시기 얼마나 피해를 입었는지 등이 연구 대상이다.
연구엔 당국의 빅데이터가 쓰인다. 질병청이 수집한 확진자 역학조사 정보나 백신 접종 관련 정보가 대표적이다. 건보공단이 관리하는 진료·처방 내역 등의 정보도 연구진에 제공된다. 결과는 올해 12월 최종 공개될 예정이다.
이날 0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9898명으로 목요일 기준으로 19주 만에 1만명 미만을 기록했다. 전체적인 유행이 감소세인 데다가 전날이 휴일이었던 점이 겹쳤다.
방역 당국은 현행 7일의 확진자 격리 의무를 자율 또는 권고사항으로 전환할지를 다시 논의한다. 이를 위해 감염내과, 예방의학과 등 관련 전문가로 꾸린 전문가 태스크포스(TF)가 3일 첫 회의를 가진다. 최종적인 전환 기준은 오는 1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거쳐 결정 및 공개될 예정이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