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오후 한·미 정상회담 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만찬을 한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우리는 친구” “함께 가자” 등 환영과 화합의 건배사를 나눴다.
먼저 만찬사에 나선 윤 대통령은 “양국은 이번 회담에서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확인하고 양국 간 새로운 미래를 함께 모색하게 됐다”면서 “앞으로도 우리의 관계는 더 깊어질 것이고 우리의 협력은 더 강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피로 맺어진 한·미동맹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에 기반한 성장과 번영을 이뤄가는 데 든든한 버팀목이 돼 왔다”며 올해로 10주년을 맞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성과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이 좋아하는 아일랜드 시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를 인용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예이츠는 ‘인간의 영광이 어디서 시작하고 끝나는지 생각해보라. 나의 영광은 훌륭한 친구들을 가진 데 있었다’고 했다”면서 “한·미 양국은 서로의 훌륭한 친구”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어 “우리는 세계시민의 자유와 인권, 국제사회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굳게 손잡고 함께 걸어 나갈 것”이라고 다짐하며 건배를 제의했다.


이에 바이든 대통령은 답사에서 “(정상회담에서) 굉장히 생산적인 회의를 했고, 더 중요한 건 (두 정상이) 서로가 잘 알게 됐다는 것”이라며 “너무 많은 얘기를 해서 너무 많은 정보를 준 것 아닌가 걱정이 된다”고 말해 만찬장에서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이어 건배사로 “위대한 양국의 동맹과 수십년간 이어온 번영이 지속하길 바라는 뜻에서 한미연합사에서 주로 하는 건배사를 하겠다”며 “우리 함께 갑시다(We go together)”를 외쳤다.
이날 만찬에는 재계 수장들도 총출동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비롯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 정기선 HD 현대 사장 등이 참석했다.

또 SK그룹 회장인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GS 명예회장인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장, CJ그룹 회장인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 구자열 한국무역협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최진식 한국중견기업연합회장 등 경제6단체장도 함께했다.

이날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공식 만찬 테이블에는 ‘팔도 산채 비빔밥’ 코스 요리가 올랐다.
식전 먹거리로는 자색고구마·단호박·흑임자 맛의 전병과 팥 음료가 나왔다. 이어 향토진미 5품 냉채(흑임자 두부선·이색밀쌈·오이선·횡성 더덕무침·금산 인삼 야채말이), 강원 양양 참송이 버섯죽과 침채, 해남 배추를 이용한 숭채만두, 간장 양념으로 숙성한 수비드(저온 진공 조리법) 방식의 미국산 소갈비 양념구이와 야채, 팔도 산채 비빔밥과 두부 완자탕 순으로 음식이 제공됐다.

디저트로 이천쌀과 화이트 초콜릿을 이용한 쌀케이크, 미국산 견과류와 오렌지 젤리, 국내산 산딸기와 배 등 양국 식재료를 이용한 음식이 준비됐고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의 한국인 소유 와이너리 ‘다나 에스테이트’에서 생산된 레드와인 ‘바소’가 만찬주로 쓰였다.
건배주로는 2012년 핵안보정상회의 등에서 만찬주로 쓰인 국산 스파클링 와인 ‘오미로제 결’이, 화이트와인으로는 나파밸리산 ‘샤또 몬텔레나 나파밸리 샤도네이’가 각각 선정됐다.

대변인실은 오미자 스파클링 와인에 대해 “신맛, 단맛, 쌉싸름한 맛, 짠맛, 자극적인 맛 등 다섯 가지 맛이 조화를 이루는 오미자로 담근 것”이라고 전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