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야생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봄철 영농활동과 입산객 증가 등으로 양돈농가의 ASF 발생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행락철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강화대책’을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국내 야생멧돼지 ASF 발생은 첫해인 2019년 55건에서 현재 2576건(올해 4월 말 기준)으로 늘고 있다. 지역적으로도 최근에는 접경지역이 아닌 충북·경북의 야생멧돼지에서도 ASF가 검출되고 있다.
4~5월 봄철은 멧돼지 출산기로 개체 수가 급증하고, 우거진 수풀로 인해 폐사체 수색·포획이 어려워져 입산 등 야외활동 증가에 따른 오염원 접촉이 추가 확산될 우려가 커지는 시기다.
이에 도는 야생멧돼지 발생 방역대(가평 등) 내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매일 예찰 및 점검을 벌이고, 농장 주변 집중소독, 멧돼지 기피제 살포, 울타리 등 방역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특히 야생멧돼지 ASF가 발생 된 지역(연천, 포천, 가평 등) 양돈농가에 대해 지난해 5월 10일부터 시행 중인 ‘입산금지 행정명령’을 지속해서 시행한다.
지난해 12월 3일에는 양평, 여주를 ASF 중점방역관리지구로 추가 지정돼 6월 3일까지 8대 방역시설을 설치하고, 경기남부 전 지역은 가축전염병 시행규칙 개정 시행 예정에 따라 11월 초까지 강화된 방역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기간 내 해당 시설을 설치하지 않으면 가축전염병예방법에 의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이에 해당 지역 입산객은 농장방문을 자제하고, 불가피하게 방문할 경우에는 반드시 차량 세척·소독, 신발 소독 등을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
또한 시·군과 함께 ‘야생동물 피해방지단’을 상시 운영하며 모든 포획 개체와 폐사체에 대해 ASF 전수검사를 실시하고 포획 시 포상금을 지급하며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하고 있다.
아울러 양돈협회 등 축산단체·기관과 적극적으로 협력해 강화된 방역시설을 조속히 설치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독려 중이다.
이 밖에도 도내 양돈농가를 대상으로 매일 농장 내·외부 소독, 외부에서 장비 사용 시 세척·소독 후 농장 내 반입, 농장진입 시 방역실 활용한 방역활동(외부옷 탈의, 샤워, 신발 갈아신기) 등 방역수칙 준수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김종훈 경기도 동물방역위생과장은 “지금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재발하지 않도록 차단 방역에 온 힘을 다해야 하는 시기”라며 “방역수칙 준수 등 농장 중심의 방역이 제대로 이뤄지도록 양돈농가 등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