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에 국가폭력 기억공간(수상한 집)을 만든 강광보씨는 고교 3학년 때 일본에 밀항해 친척집에서 생활하다 불법 체류자로 적발돼 고향으로 돌아왔다가 간첩이 됐다. 1986년 국가보안법 위반(간첩)으로 징역 7년과 자격정지 7년을 선고 받고 복역하다 1991년 석방됐다. 강씨는 재심청구소송을 통해 31년만인 2017년 무죄 판결을 받았다.
제주 출신 간첩조작사건 피해자에 대한 실태조사가 이뤄진다.
제주도는 21일 간첩조작사건 지원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올해 추진할 간첩조작사건 피해자 실태조사 사업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고 이날 밝혔다.
간첩조작사건 피해자는 제주 출신으로 공안사건에서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이후 재심을 통해 무죄를 선고 받은 사람과 그 유족(1세대 한정)을 말한다.
피해자 실태조사는 ㈔제주민주화운동사료연구소가 맡는다. 제주출신 피해자 명단을 확보하고 피해자별 현황 기초조사 등을 진행해 그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제주지역에선 일제강점기와 4·3시기 생계를 위해 일본으로 건너 간 사람이 많았다. 이들 중 일부는 일본 내 친인척들의 총련 활동으로 공안기관에 의해 간첩으로 조작됐다.
천주교 인권위원회의 2006년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간첩조작사건 109건 가운데 34%에 이르는 37건이 제주도 관련 사건으로 나타났다.
제주에선 지난해 제주 출신 간첩 조작사건 피해자 지원을 위한 조례가 제정됐다.
김승배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지원 방안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피해자들이 상처를 치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