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을 관리 대상으로 설정하고 확산 상황을 상시 관리한다.
ASF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10일 야생멧돼지 집중 관리 및 선제적 농장 차단 방역을 골자로 하는 ‘봄철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강화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ASF는 지난 1월 이후 충북 충주와 보은에 이어 경북 상주, 울진, 문경 등으로 확산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양돈단지가 있는 경기 남부와 충남 지역 인근에서도 ASF 감염이 확인돼 시급히 방역을 강화해야 하는 상황이다.
중수본은 이달 중 ‘야생멧돼지 ASF 확산 차단 상시 관리대책’을 마련하고 전국을 관리 대상으로 설정할 방침이다.
우선 발생 상황에 따라 ‘집중관리지역’ ‘기존발생지역’ ‘사전예방지역(비발생지역)’ 3단계로 구분한다. 집중관리지역에는 열화상 드론팀, 상설 포획단, 전문 폐사체 수색반을 투입해 멧돼지 포획과 폐사체 수색에 집중할 계획이다.
사전예방지역에서도 상설 포획단을 운영하고 ASF 확산 여부를 감시한다. 환경부는 올해 전국 야생 멧돼지 서식 밀도를 ㎢당 0.7마리 이하로 낮추기 위해 시·도별 포획목표를 설정하고 이달부터 상시 포획작업에 돌입한다.
중수본은 또 민간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폐사체 신고포상금을 ASF 감염 여부와 무관하게 20만원으로 통일하는 ‘야생멧돼지 포획·신고 포상금 고시’ 개정을 추진한다. 개정안에는 3~5월 출산기 성체(60㎏ 이상)를 포획할 경우 포상금을 기존 20만원에서 30만원으로 상향하는 내용도 담긴다.
중수본은 이외에도 ASF 발생 및 인접 지역 양돈농장에 이달 안으로 강화된 방역시설을 설치하고, 그 외 지역 양돈농장은 최대한 신속히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김종률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더 이상 퍼지지 않도록 야생멧돼지 상시 관리 체계를 전국으로 확대했다”며 “야생멧돼지 포획·신고 포상금을 올리는 등 개체 수 서식밀도를 줄이는 데도 집중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