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와 충남도가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대학의 위기 극복을 위한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
대전시와 대전세종연구원은 30일 대세연 대회의실에서 지자체·지역대학의 상생협력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발표자로 나선 이종호 경상국립대 산학협력정책연구소장은 ‘지역·대학 상생을 위한 정책방향’을 주제로 공유대학 기반의 인재양성 체계 구축, 지역대학의 역량별 특성화 및 분업관계를 유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이강주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은 일본 교토의 지역·대학 연합체제 구축 사례 등을 예시로 들며 지역의 산·학·관 연계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자유토론에서는 강병수 충남대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을 좌장으로 대전대 목원대 충남대 한남대 등 지역 대학의 교수들이 지자체와 대학의 다양한 상생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유한준 대전시 청년정책과장은 “시와 지역대학의 긴밀한 협업을 통한 선순환을 기대한다”며 “토론회에서 구체화된 의견 중 가능한 내용은 시정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충남도는 내포혁신플랫폼에서 ‘지역대학 위기 극복 토론회’를 개최했다.
발제자로 나선 박성하 교육부 지역혁신대학지원과장과 정성훈 강원대 교수는 각각 ‘지자체·대학 협력을 통한 지역인재 육성 및 지역혁신 추진 전략’ ‘지역대학의 산학협력 역량 강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지역과 대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지역대학의 위기 극복을 위한 대학별 비전과 발전 방안, 지자체·대학·산업체간 연계 협력 지원방안, 지역인재 육성 사업 확대 지원방안 등을 다뤘다.
도는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을 바탕으로 지역대학별 경쟁력 향상, 지역정주형 인재 육성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또 지역대학별 관·학 연계 공모사업을 발굴하는 한편 정부에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건의하기로 했다.
최근 10년간 수도권 대학의 입학생 수는 0.95% 증가한 반면 충남지역 대학의 입학생 수는 15.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정부정책과의 연계성에 기반한 지역대학 특화 협력사업 발굴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검토가 필요한 부분들은 시간을 갖고 고민해서 향후 정책에 반영하거나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