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톤 조절’한 김부겸 “尹 용산 이전, 그럴 수밖에 없었을 것”

Է:2022-03-21 07:06
:2022-03-21 09:46
ϱ
ũ

‘유임설’에 “개인이 협치 상징 안 돼… 해프닝”
최우선 현안 ‘인수인계’… “스무스하게”

카타르를 방문 중인 김부겸 총리가 칼리드 빈 칼리파 빈 압둘아지즈 알 타니 카타르 총리가 운전하는 차량을 타고 이동하고 있다. 국무총리실 제공

김부겸 국무총리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에 대해 20일(현지시간) “여러 가지 고민이 있지 않았겠나. 새 정부의 상징적인 사안이 돼버려서 당선인으로서는 그렇게 결정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용산 이전 방침에 대해 맹공을 퍼붓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분위기와는 어조가 조금 달라 그 의미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김 총리는 이날 카타르 방문 중 도하의 한 호텔에서 가진 순방기자단 간담회에서 “논란은 있지만 그것이 새 정부의 성격을 절대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는 윤호중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결사의 자세로 안보와 시민의 재산권을 지키겠다”며 집무실 이전 계획 철회를 주장한 것과는 다소 온도차가 있는 발언이다.

윤 당선인이 용산 국방부 청사로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하는 것을 두고 여러 평가가 나올 수 있지만 이번 일만으로 차기 정부의 성격을 규정할 필요는 없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김 총리는 앞서 나왔던 ‘유임설’에 대해서는 “협치라는 측면에서 (유임설이) 나왔을 텐데, 타깃 자체가 잘못 설정됐다”고 일축했다.

그는 “국민이 기대하는 것은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경쟁할 것은 경쟁하라는 건데 이는 당과 당의 관계에서 풀어나가야 할 일”이라며 “개인이 협치의 상징이 되면 안 된다. 불가능한 일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임설은) 전체적인 국면을 정확하게 꿰뚫지 못한 해프닝”이라고 표현했다. 앞서 김 총리는 유임설이 돌자 총리실 명의로 입장을 내고 “차기 정부 출범 전 인수인계 작업을 하는 것까지가 총리의 역할”이라고 선을 그었다.

아울러 김 총리는 다음 정부와 인수인계 과정에 대해서는 “‘스무스’하게(부드럽게) 이뤄질 수 있도록 미팅을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귀국 후 가장 먼저 살필 국내 현안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인수위 측과 만날 것”이라며 이같이 답했다.

김 총리는 “우리가 정리해서 넘겨줄 것은 넘겨줄 것”이라며 “인수위 쪽에서도 들쑤시듯이 얘기하지 않도록 (정부 측에서 노력하겠다). 체계적으로 인수인계가 되도록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