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가 마을을 걸으며 4·3 당시 도민의 아픔을 따라가는 제주4·3길을 올해 추가 조성한다.
도는 단순 관광지 방문보다 역사 현장에서 교훈을 찾는 다크투어 등 가치나 배움을 중요시 하는 여행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2018년 이후 중단했던 4·3길 조성사업을 재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달까지 마을 단위로 신청서를 접수 받아 내달 사업대상지를 최종 선정한다. 이후 선정된 마을 주민과 4·3 전문가가 코스 구성을 검토해 오는 9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4·3길을 개통한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누구나 손쉽게 쓸 수 있는 보편적인 디자인으로, 휠체어를 타거나 몸이 불편한 이들도 어려움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길이 적용될 전망이다.
4·3길에는 4·3해설사를 배치한다. 도는 마을의 실정을 잘 아는 주민을 중심으로 제주4·3평화재단의 4·3해설사 교육을 이수토록 해 현장에 배치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당시 마을에서 벌어진 사건의 참상을 객관적으로 전달하고 주변 관광지와 각종 볼거리, 소소한 문화에 대한 설명을 곁들여 제주와 4·3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코스는 10㎞ 내외 길이로 조성된다.
앞서 도는 2015년부터 도내 6개 마을에 4·3길을 조성하고 4·3해설사를 배치해 운영하고 있다. 조성된 마을은 소설 ‘순이삼촌’의 배경이 된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를 비롯해 동광, 의귀, 금악, 가시, 오라 마을이다.
현봉윤 제주도 4·3지원과 유적관리팀장은 “4·3유적지와 주변 마을자원을 연계해 많은 이들이 찾는 곳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주4·3사건은 1948년 4월 3일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한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와 미 군정의 강압이 계기가 되어 제주도에서 일어난 민중항쟁을 말한다.
제주4·3특별법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과 그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 당한 사건’으로 정의하고 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