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청와대 갈 가능성 제로”라는데…국방부도 ‘구중궁궐’ 우려

Է:2022-03-16 18:18
ϱ
ũ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전경.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후보지로 용산 국방부 청사가 급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민간인 출입이 철저히 통제된 고도 보안시설인 국방부 청사가 윤 당선인의 집무실 이전 명분인 ‘소통’과 거리가 있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온다.

윤 당선인은 대선 후보 시절 ‘광화문 시대’를 열겠다며 청와대를 폐지하고 대통령실 전체를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로 이전하겠다고 공약했다.

하지만 대선 후 공약 이행을 위한 검토 과정에서 인수위 내에서는 정부서울청사가 보안과 경호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때문에 국방부 청사가 유력한 대체지로 떠올랐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16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용산(국방부)을 포함해 여러 개 후보지를 놓고 검토 중”이라며 “윤 당선인이 기존 청와대에 들어갈 가능성은 제로”라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윤 당선인이 청와대 밖으로 나오겠다고 한 것은 국민 속으로 들어가고 소통이 중요하다는 오랜 의지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워낙 청와대라는 곳이 구중궁궐로 느껴져서 들어가면 국민과 접점이 형성되지 않고 소통 부재로 흐르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윤 당선인 측은 새 집무실 마련에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도 인정했다.

김 대변인은 “새 길을 낼 때는 장애물이 많다”면서 “특히 경호와 보안 같은 상당히 많은 난관에 부딪혔음을 알게 됐다”고 시인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2017년 대선에서 ‘광화문 대통령’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집권 직후부터 집무실 이전을 추진했지만, 경호 및 보안 문제로 결국 ‘공약 파기’를 선언해야 했다.

국방부 청사가 대안으로 떠오른 것은 정부서울청사의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전경. 연합뉴스

군사 시설인 만큼 경비가 확실하고 유사시 국방부 청사와 연결된 지하 벙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국방부 청사가 대안이 될 수 있느냐는 점에는 의문이 제기된다.

집무실 이전 명분으로 내세웠던 ‘국민과의 소통’ 면에서 합격점을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김성수 한양대 정외과 교수는 “국방부는 독립적인 군사 시설이어서 일반 국민이 접근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윤 당선인 측은 용산 미군기지 부지에 조성될 예정인 용산공원이 개장하면 국민과의 소통이 용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2027년 개장할 계획이었던 용산공원은 미군기지 반환이 늦춰지면서 개장이 무기한 연기된 상태다.

만약 국방부 청사가 새 집무실로 확정되면 대통령 관저는 4㎞가량 떨어진 한남동 ‘공관촌’에 마련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출퇴근길 도로 통제 등 교통 문제가 예상된다.

정부서울청사와 관저 후보지인 국무총리 공관과의 거리(1.2㎞)에 비해 동선이 훨씬 길어지기 때문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국민 불편을 초래한다면 국민과 소통을 잘하겠다는 취지가 오히려 퇴색할 수 있다”며 “소통은커녕 오히려 국민 불만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문동성 박재현 기자 theMo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