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가 예고했던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시점이 다가옴에 따라 부산시가 해양 방사능 감시체계 강화에 나선다.
부산시는 일본 후쿠시마(福島)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와 관련한 시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부산 연안 해수와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감시 체계를 강화한다고 15일 밝혔다.
후쿠시마 원전은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으로 방사능 유출 사고가 발생해 하루평균 160~170t의 방사성 오염수가 배출되고 있다. 오염수 저장 용량이 한계에 다다르자 일본 정부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통해 방사능을 적정 수준으로 낮춰 올봄부터 해상 방류하겠다고 결정했다.
지난달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조사단이 후쿠시마 제1 원전 현장을 방문하는 등 오염수 해양 방류가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부산시는 해양 방사능 감시와 수산물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그 결과를 신속히 공개하기로 했다.

시는 남구에 방사능 무인감시망을 추가로 설치해 기존 5곳(강서구 1, 동구 1, 해운대구 1, 기장군 2)에서 6곳으로 확대한다. 해수욕장 등 연안 해수에 대한 방사능 검사 횟수도 기존 140회에서 180회로 늘인다.
시는 재래시장, 도매시장, 대형할인점, 온라인 판매점 등에서 수거한 농·수산물, 가공식품을 대상으로 연간 약 800건의 방사능 검사를 진행한다.
수산자원연구소는 올해 방사능 검사장비(전처리장비 1대)를 추가로 확보해 양식장과 수산물 위판장 등 114품종을 대상으로 연간 300건 이상 심층 분석을 진행한다.
수입 수산물에 대한 원산지 표시 단속을 위한 합동단속반도 꾸려 단속을 강화할 예정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