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시급…광주전남연구원 정책연구집

Է:2022-03-13 17:11
:2022-03-14 00:16
ϱ
ũ

판로 교육 인프라 플랫폼 4가지 측면의 전환 유도 필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한 디지털전환 지원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행정과 금융 의료 제조 등 사회 전 분야의 전환 추세를 감안해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과 같은 첨단기술을 활용한 배송혁신, 상품추천, 간편결제 등 디지털 방식 전환을 끌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광주전남연구원(원장 박재영)은 13일 ‘광주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지원방안 연구’ 발간을 통해 코로나19 장기화, 전통시장·상권 쇠퇴, 비대면 소비 증가 등 급변하는 유통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광주 소상공인 디지털전환 4대 추진전략·8대 지원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광주 소상공인 업체 수는 전체 사업체 93.9%(16만 5000개), 종사자 51.1%(23만 6000명), 매출액 27.9%(24조원)에 달하는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경제의 근간인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는 기업 영세성에다 코로나19 확산, 노령화까지 더해져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지난 5년간 국내 온라인 소매비중이 2배 이상 증가하고, 온라인 거래액이 10년간 6배 이상 폭증한 디지털 현실과는 한참 동떨어진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통해 비대면 산업을 집중 육성하면서 디지털 뉴딜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소상공인 디지털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있지만 지역 업체들은 이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정부의 주요 사업은 스마트슈퍼 육성지원, 온라인 특성화대학, 스마트상점·스마트공방 기술보급 등으로 온라인 비즈니스 지원사업의 중요성을 감안한 것이다.

광주전남연구원 한경록 책임연구위원은 이에 따라 이번 정책 연구집에서 지역 소상공인의 디지털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4가지 측면의 정책방향을 제안했다.

한 위원은 판로 측면에서 온라인 수익 창출을 위한 채널 다각화, 교육 측면에서는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을 통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인프라 확대 차원의 비대면 오프라인 거래 환경 조성, 플랫폼 구축조건인 첨단 기술 기반 유통 프로세스 혁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 같은 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한 8대 추진과제도 제시했다.

온라인 소상공 유통 플랫폼 기반 구축, 인공지능 기술 응용·실증을 통한 소상공인 서비스 개발, 디지털전환 참여 교육 강화, 광주시 유통산업 디지털전환 지원 조례 제·개정, 광주 소상공인디지털전환추진단 구성, 구독경제 대응 역량 제고, 도심융합특구 연계 청년 스마트몰 공간 조성, 소상공인 맞춤형 공모사업 추진을 꼽았다.

한 위원은 “비대면 거래 가속화는 전통 방식의 소상공인 영업에 난관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유통환경과 소비패턴 변화에 맞춘 신속한 디지털전환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