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와 지역 대학들이 코앞까지 닥친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공동 전선을 구축한다. 관·학 협력을 통해 인재양성-취·창업-지역정착 선순환 인프라를 구축할 방침이다.
대구시는 대구권(대구·경북 경산) 소재 17개 지역대학과 함께 11일 시청 별관에서 ‘지방소멸·지역대학 위기 극복 공동 대응 상생협력 선포식’을 가진다고 10일 밝혔다.
선포식은 시와 대학이 지방소멸과 지역대학의 위기 극복을 위해 힘을 모으겠다는 결의를 다지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시와 대학들은 상생협력체계를 구축해 포스트 코로나, 4차 산업혁명 등 다가오는 미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나갈 방침이다.
시와 대학들은 유기적인 협업체계를 강화해 ‘대구형 대학협력모델’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지방대학·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협의회를 공식화하고 각종 사안을 함께 의논한다. 지역대학 육성 정책포럼 지속 개최와 논의된 안건 정책 반영에도 머리를 맞댄다. 또 대구·경북지역학 교양강좌 확대, 대학 협력사업 참여 협력, 전국 최초 대학생 지원센터인 대구글로벌플라자(가칭) 성공적 운영 협조, 대학 간 공유 강화, 시민사회·지역산업계 협력을 통한 지역발전 견인 등을 위해 함께 노력하게 된다.
앞서 시는 민·관·학이 참여하는 대학협력 정책자문단을 출범시켰다. 지속 가능한 동반성장을 위한 대학협력 사업을 발굴·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선포식도 협력 인프라 구축의 연장선상에 있다.
대학들도 나름대로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이달 초 경북대학교 등 23개 대구·경북지역 대학들은 2022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사업) 유치를 위해 대구·경북혁신대학 설립을 추진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방소멸과 지역대학 위기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더 늦기 전에 지역사회와 대학이 힘을 모아 지역에서 키운 인재가 지역에 머무르며 활동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이번 선포식을 통해 대학과 지역사회가 함께 성장하는 중요한 상생 파트너임을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