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파율이 높아지면 위중증화 비율은 오히려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기초과학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수학 모델 연구를 통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해냈다고 14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전파율이 변화하면 코로나19 토착화의 과정에 어떤 일이 일어날까?’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수학 모델을 만들어 분석했다.
코로나19에 감염된 뒤 회복하면 면역반응이 다시 증강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백신 접종률이 높은 상황에서 바이러스 전파율이 높아지면 일시적으로 코로나19 환자 수가 증가하지만, 궁극적으로 위중증화 비율이 낮아지면서 코로나19가 경증 호흡기 질환으로 토착화된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오미크론의 낮은 위중증 성질은 배제한 채 높은 전파율이 일으키는 결과만을 분석했다고 KAIST는 설명했다.
연구팀은 다만 연령·기저질환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위중증률을 고려한 것은 아니라며 연구 결과를 고위험군 집단에 적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코로나19 환자 수가 너무 많아지면 의료체계가 붕괴될 수도 있는 만큼 연구 결과를 신중하게 해석·적용해야 한다고도 부연했다.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수학 모델을 활용해 인간의 직관으로는 유추하기 어려운 역설적인 연구결과를 얻었다”며 “앞으로도 의학 연구에 수학 모델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지윤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 환자 수가 급증하는 것을 무조건 두려워만 할 것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접근해 미래를 예측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