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잡는 LED 나왔다”…포스텍 심자외선 첫 개발

Է:2021-12-23 13:08
ϱ
ũ

포스텍 김종환 교수팀
h-BN 기반 심자외선 LED 최초 개발

사진 왼쪽부터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김종환 교수, 통합과정 송수범·윤상호 씨. 포스텍 제공

코로나19의 천적인 LED가 나왔다. 국내 연구진이 완전히 새로운 소재로 심자외선 LED를 개발했다. 심자외선 LED는 200~280나노미터(nm)로 짧은 파장의 자외선을 내뿜도록 설계된 반도체 광원을 말한다. 이 LED를 코로나바이러스나 세균에 비추면 인체에 끼치는 해를 최소화면서도 해로운 병원체를 사멸시킬 수 있다.

포스텍은 신소재공학과 김종환 교수, 통합과정 송수범·윤상호 씨 연구팀이 육방정-질화붕소(이하 h-BN)를 이용해 심자외선 LED를 최초로 만들어냈다고 23일 밝혔다.

가시광선과 달리 자외선은 물질에 쬐면 형태를 변형하거나 파괴할 수 있다. 이 중 투과도가 높은 근자외선은 피부가 노출될 경우 질병을 유발할 수 있지만 심자외선은 피부 투과도가 극히 낮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심자외선 LED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돼왔다. 주로 이용된 소재는 질화알루미늄갈륨(AlxGa1-xN)이었다. 그러나 이 소재는 파장이 짧아질수록 발광 특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어 심자외선 파장 영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LED의 구현은 숙제로 남아있었다.

연구팀이 이용한 h-BN은 흑연과 같은 반데르발스 층상물질이다. 단원자 층의 구조가 그래핀과 비슷하고 외관이 투명해 ‘화이트 그래핀’이라고도 불린다. 질화알루미늄갈륨과 달리 심자외선 영역에서 밝은 빛을 내, 심자외선 LED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신소재로 여겨진다. 그러나 전자와 정공을 주입하기 어려워 LED로 만들어내지는 못했다.

연구팀은 h-BN 나노박막에 강한 전압을 걸어주면 터널링 효과에 의해 전자와 정공을 주입할 수 있음에 착안했다. 이에 따라 그래핀, h-BN, 그래핀이 쌓인 반데르발스 헤테로 나노소재를 기반하는 LED 소자를 제작했고, 실제 소자가 심자외선을 강하게 내뿜는 것을 심자외선 분광 장비를 통해 확인했다.
h-BN 기반 심자외선 LED. 그래핀, h-BN, 그래핀 구조를 갖는 반데르발스 헤테로 나노소재를 이용해 강한 심자외선 빛을 방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포스텍 제공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최근 게재됐다.

김종환 교수는 “차세대 신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그래핀, h-BN을 이용해 최초로 심자외선 LED를 구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높은 발광 효율을 갖는 동시에 소자를 소형화할 수 있어 바이러스와 세균의 살균 시스템, 반도체 소자 제작 공정, 근거리 무선 통신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