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신종 변이인 ‘오미크론’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오미크론 감염자가 178명으로 집계되고, 백신 3차 접종 뒤 오미크론에 감염된 사례까지 발견됐다. 방역 당국은 1∼2달 이내에 오미크론이 국내 우세종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20일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나라에서는 앞으로 한두 달 정도 이내 시점에서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단장은 “우리나라의 예방적 상황이 더 충실하게 된다면. 이보다 약간 더 늦은 시점이 될 수도 있다”면서 “오미크론 변이의 전파 속도가 매우 빠르다”고 말했다.
지난달 말 이후 국내에서는 오미크론 감염자가 총 178명 확인됐고 감염 의심사례 10명까지 더하면 오미크론 변이 관련 사례는 총 188명이다.
188명 중 해외유입 사례가 54명이고 이들을 통해 지역으로 전파된 사례가 134명이다.
당국에 따르면 이중 무증상 확진자가 19.8%이고 유증상의 경우 발열, 인후통, 기침 등을 보이는데 모두 경증이다. 또 확진자들의 가족 감염률이 44.7%로 델타 변이(20%)와 비교해 배 이상이다.
한편 방대본에 따르면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 중 추가접종자는 총 5명으로 늘었다. 방대본은 전날 추가접종을 받은 뒤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된 사례가 총 4명이라고 밝혔으나, 1명이 추가됐다. 이 1명은 방대본이 전날 2차 접종자로 분류한 사례인데, 이날 다시 추가접종자로 재분류됐다.
5명 중 3명은 얀센 백신으로 기본접종을 완료한 뒤 추가접종을 받았다. 나머지 2명 중 1명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기본접종을 완료한 뒤 화이자 백신으로 추가접종을 했고 또 다른 1명은 화이자 백신으로 세 차례 접종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