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100세 이상 초고령자들의 음주, 흡연은 20년 전에 비교해 크게 줄고 우울증도 덜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대학교 박광성, 이정화 교수, 박상철 석좌교수를 비롯한 10명의 교수가 한국의 장수 지대로 알려진 구곡순담(구례군, 곡성군, 순창군, 담양군)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다.
24일 박 교수 등이 발간한 ‘한국의 백세인 20년의 변화’(군자 출판사. 2021)에 따르면 현재의 백세인들은 20년 전의 백세인들에 비교해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문해율)이 13%에서 49%로 높아졌다.
반면 흡연율(13%-> 3%)과 음주율(85%-> 6%)은 크게 줄었고 지역 외 이동성은 증가(36%-> 45%)한 것으로 밝혀졌다.
백세인의 거주형태도 20년 전 초고령자들에 비교해 큰 변화를 보였다. 가족 동거는 약 90%에서 50%로 격감했으나 혼자 사는 백세인은 약 10%에서 30%로 많이 증가했다.
요양시설 거주도 0%에서 약 20%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성인 아들·며느리의 동거부양 비율이 약 70%에서 40%로 줄어든 것과 연관된 것이라는 분석이다.
일상생활 수행능력(K-ADL)은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에 비교해 사회적 생활에 필요한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K-IADL)은 상대적으로 나아졌다.
인지능력의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으나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GDS-K)로 측정한 우울증 지수는 크게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20년 전 백세인에게는 6·25 한국전쟁의 가족 피해에 관한 심리적 상처가 남아있었지만, 현재 백세인에게는 그런 상흔이 적은 게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저자들은 ‘인간의 수명증가에 한계가 있는가.’, ‘수명증가로 인간은 더 행복해지는가.’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학제적 접근을 통해 면접조사, 혈액검사 등 다양한 임상 조사, 백세인과 부양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 등을 시행하고 같은 지역에 대한 서울대 백세인연구단의 연구(2001)과 비교해 다가오는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안을 이 책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출판기념회는 전남대 노화과학연구소(박광성 소장)와 전남대병원 미래노화과학특성화사업단이 공동주관하고, 광주전남과학기술총연합회, 구곡순담장수벨트행정협의회 공동주최로 11월 26일 오후 2시 전남의대 덕재홀에서는 열린다.
박 교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국내 백세인들의 생활 수준에 관한 주관적 만족도 조사 결과 삶의 질과 만족도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이해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