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청 감찰 논란’ 김오수 “공수처 연락 안 해…믿어달라”

Է:2021-11-12 17:52
:2021-11-12 17:53
ϱ
ũ
김오수 검찰총장이 지난달 18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오수 검찰총장이 법조 출입기자단과 만난 자리에서 “공수처와 연락하지 않았다. 믿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대검 감찰부가 전현직 대검 대변인의 공용 휴대전화를 영장 없이 압수한 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대검 감찰부를 압수수색하면서 불거진 ‘하청 감찰’ 논란에 대해 해명한 것이다.

김 총장은 12일 오후 대검 청사에서 법조에 출입하는 팀장급 기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하청 감찰 논란에 대해 이와 같이 밝혔다. 김 총장은 “대검 감찰부에 확인했는데 공수처와 연락한 일은 없다고 한다. 공수처도 그런 사실이 없다고 했다”며 “대한민국에 비밀은 없으니 믿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하청 감찰 논란’은 ‘고발 사주 의혹’ 등을 수사 중인 공수처가 지난 5일 대검 감찰부를 압수수색해 공용폰의 포렌식 자료를 확보하면서 불거졌다. 앞서 대검 감찰3과는 지난달 29일 ‘고발 사주 의혹’과 ‘윤석열 후보 장모 대응 문건 의혹’ 등의 조사를 위해 대변인 공용 휴대전화를 임의제출 형태로 압수해 포렌식했다. 이를 공수처가 가져가면서 사전에 논의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일각의 의혹 제기가 있었다.

이날 기자단은 대검 감찰부의 공용폰 압수수색을 두고 유감을 표시했다. 법무부가 훈령을 통해 공식적으로 정해놓은 창구가 대변인의 공용폰인데, 이를 압수한 것은 언론의 자유를 침해할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었다.

이에 김 총장은 “양심의 자유처럼 헌법적 가치가 있는 언론의 자유는 최대한 보장돼야 한다”며 “감찰 과정과 절차를 제도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또 재발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자 “감찰이 현저히 부당한 경우 총장 권한을 적극 행사하겠다”며 한발 물러난 모습을 보였다.

아울러 김 총장은 대검 감찰부가 공용폰 확보에 나선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대검 공용폰이) 보고받을 때 ‘공기계다. 여러 차례 포맷이 돼 있다’고 들었다. (정보) 잔류 여부가 당연히 제로라고 생각했다”며 “그러나 감찰부는 혹시 하는 생각으로 한 것 같긴 하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선의로 해석하면 ‘제로’가 ‘제로’인 걸 확인하려는 게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다만 김 총장은 언론에 사과하지는 않았다. 그는 “지금은 감찰 조사가 진행 중이고 제가 관여할 수 없는 사안이라 사과를 언급하는 건 부담스럽고 적절치 않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해 박성진 대검 차장검사는 “진상조사는 언론의 연락 내용이 아니라 (논란이 된) 자료들이 어디에서 온 걸까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포렌식 과정이 다 녹화돼 있다”며 “필요하면 전현직 대변인 등 이해관계인에게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