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대 대학생 최초로 1급 상당의 고위 공무원이 된 박성민(25) 청와대 청년비서관을 둘러싸고 공정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상대적 박탈감’을 호소하는 청년층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공부의신’으로 유명한 강성태는 23일 “행정고시에 합격해 25년 정도 일하고 운 좋으면 1급이 되는 건데, 무려 25살에 1급이 됐다”며 쓴소리를 더했다.
강성태씨는 이날 자신의 유튜브 채널 ‘공부의신 강성태’에 ‘25살 대학생이 청와대 1급 공무원 합격하는 법’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강씨는 영상에서 “(그동안 공무원시험 수강생들에게) 하루에 10시간씩 공부할 거 아니면 때려치우라고 했었다. 그래서 수강생들이 정말 9급 공무원이 되려고 하루 10시간씩 공부하고 그런다”며 “그런데 9급도 아닌 1급을 25살에 되신 분이 탄생하셨다. 이게 경기지사나 군단장과 같은 급”이라고 운을 뗐다.

강씨는 매년 전국 수석이나 공공기관 합격자 등을 초대해 합격 비결을 들어왔지만 “이 분이 탑인 것 같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서류전형이 있었다면 어떻게 통과했는지, 면접은 어떻게 치르셨는지, 무슨 루트로 경쟁은 또 얼마나 치열했는지, 슬럼프는 어떻게 극복하셨는지 방법만 알 수 있다면 정말 18시간씩이라도 (그 방법대로) 하겠다고, 꼭 좀 모셔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아마 (박 비서관의) 일 자체가 청년들을 위해서 하시는 거니까 (저희 채널에 출연해) 그런 노하우 공유 정도는 해주시지 않을까”라고 덧붙였다.
해당 영상에는 “문재인정부가 말하는 공정은 우리가 생각하는 공정과 많이 다르다는 걸 다시 느꼈다” “이건 파격인사가 아니라 파괴인사다” “정부가 노력의 가치를 짓밟아 버렸다” 등 청와대의 박 비서관 발탁을 비판하는 댓글이 다수 달렸다.

청와대는 지난 21일 신임 청년비서관에 박성민 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을 임명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박 비서관은 민주당 최고위원 등을 지내며 현안에 대해 소신 있게 의견을 제기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경청하는 균형감을 보여줬다”며 “청년 입장에서 청년의 어려움을 더 잘 이해하고 청년과 소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인사 배경을 밝혔다.
이를 두고 청년층의 반발이 잇따랐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국보협)는 22일 “이런 인사는 청년의 마음을 얻는 것이 아니라 분노만 살 뿐, 파격이 아닌 코미디”라고 비판 성명을 발표했다. 또 “박 비서관이 최고위원 당시 내놓은 청년 정책·메시지는 한 건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런 비판에 대해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은 22일 MBC 라디오에 출연해 “박 비서관은 당에서 활동하고, 사회적 활동하면서 평가받고 검증받은 사람이라 충분히 자격이 있다”고 반박했다. 이 수석은 “1급 자리라 하지만 정무직이기 때문에 임기가 정해져 있지 않고, 아무리 길어도 문재인 대통령 임기 때까지밖에 안 한다”면서 “청년 문제를 보다 청년의 관점에서 풀어보려는 자세, 그런 의지의 표명이라고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
▶[속보] ‘25세 女 대학생’ 박성민, 靑 청년비서관 파격 임명
▶‘1급 박성민’ 감싼 與 초선…“실력으로 선발됐다”
▶‘한방에 1급 박성민, 공정 맞냐’ 질의에 장관 답변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