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초의 항만 재개발 사업인 부산항 북항재개발 사업이 해양수산부 감사를 이유로 제동을 걸자 지역사회가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다.
9일 부산시에 따르면 북항 트램(노면전차)·공공 콘텐츠 사업과 관련해 북항 재개발 1단계 사업을 당초 계획대로 추진해 줄 것을 촉구했다.
여의도 면적의 절반이 넘는 규모의 부산항 북항재개발 사업은 1단계와 2단계로 진행한다. 이 중 트램·공공콘텐츠 구축 사업 등은 1단계 사업에 포함되어 있다. 원도심과 북항을 새로운 교통수단인 트램으로 잇고, 공중 보행교, 해양레포츠콤플렉스, 오페라하우스 등을 짓는다.
1단계 사업은 2022년 준공, 2단계 사업은 2030년 준공이 목표다. 2030 부산 월드엑스포 성공개최를 위해서라도 지체할 시간이 없다는 것이 부산시의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4월 초 해수부는 ‘부산항 북항통합개발추진단’에 대한 감사를 3주간 진행했다. 감사를 앞둔 지난 3월 부산항만공사는 진행하던 ‘트램·공공콘텐츠 사업 실시설계 용역’을 중단했다. 본격 감사에 앞서 사전 자료조사를 진행하는 데 이번 용역 진행에 문제는 없는지 들여다보기 위해 자체적으로 중단했다는 것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처럼 해수부 감사를 기점으로 북항재개발 1단계 사업이 차질을 빚자 지역사회 비판 여론이 더욱 커졌다.
이에 부산시는 전날 입장문을 통해 부산의 100년 미래를 바꿀 북항 재개발사업의 성공을 위해 해양수산부가 신의·성실 원칙에 따라 당초 계획대로 사업을 차질 없이, 그리고 조속히 추진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시는 기재부와의 사전 협의도 필요 없다고 봤다. 시가 변호사 자문 등을 진행한 결과, 트램 및 공공 콘텐츠 사업은 총사업비(2조4000억원)의 변경 없이 추진되는 경미한 사항으로, 관련 법령상 기재부와 별도 협의 없이도 추진이 가능한 사업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트램·공공콘텐츠 사업이 중앙부처(기재부) 사전협의 대상으로 결론 난다면, 검토 결과에 따라 상당 부분 축소되거나 사업 추진 일정 등에도 중대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이번 일로 부산시민 전체에 대한 약속인 북항 재개발사업에 차질이 빚어진다면 부산시민들은 이와 같은 상황을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 말했다.
부산지역 143개 시민단체 연대는 이날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북항 공공재개발을 방해하는 해수부를 규탄하고 책임자 문책을 촉구했다. 기자회견에는 부산북항 공공성 실현을 위한 부산시민행동, 지방분권균형발전 부산시민연대, 부산항북항 통합개발추진협의회, 부산항운노동조합 등에서 100여명이 참석해 해수부의 행태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잇달아 쏟아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