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거인’ 코인 이탈자금 어디로… 금·필수재·가치주·부동산?

Է:2021-05-23 17:31
ϱ
ũ

암호화폐(가상화폐) 시장이 흔들리면서 자금 이탈 여부와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물가상승 압력 확대 상황에서 최근 급등락으로 투자 매력이 약해진 만큼 금을 비롯한 전통적 안전자산과 물가상승 수혜 자산으로 자금이 옮겨가리라는 전망이 나온다.

강현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23일 보고서에서 “팬데믹(세계적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암호화폐 시장은 유동성을 일부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해왔다”며 “지금처럼 암호화폐가 흔들릴 경우 그곳에 머물던 유동성이 다른 곳으로 이전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암호화폐 가격은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셌던 지난해 3월 저점 기록 후 최근 고점까지 적게는 10배, 많게는 400배 넘게 상승하며 초고수익을 쫓는 시중 자금을 빠르게 흡수했다. 강 연구원은 “주요국 중앙은행이 풀었던 유동성의 일정 부분을 암호화폐 시장이 머금은 형국”이라며 “이제는 암호화폐 시장 시가총액이 굵직한 상품과 비등한 수준으로 성장한 상태”라고 했다.

코인마켓갭과 컴퍼니스마켓갭 집계에 따르면 전 세계 암호화폐 시총은 23일 기준 약 1조5100억 달러로 세계 7위 개별 자산인 은(1조5100억 달러)과 맞먹는다. 시장 규모가 절정이었던 지난 12일 시총은 2조5300억 달러대로 세계 2위 애플(2조1000억 달러)을 크게 웃돌았다. 암화화폐 시장 대장주인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 3월 중순 6만 달러에서 현재 3만6000달러대까지 하락했지만 시총(약 6900억 달러)은 아직 전 세계 개별 자산 중 10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몸집이 커진 암호화폐 시장에서 자금 이탈이 빨라진다면 그 규모가 상당할 것인 만큼 자산시장이 적잖게 영향을 받으리라고 예상할 수 있다.

강 연구원은 암호화폐 시장을 빠져나온 돈이 물가 관련 투자상품으로 향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통 경기회복 초기에는 앞으로 좋아질 경기를 미리 반영하는 주식 등이 주목을 받다가 이후에는 물가 상승을 염두에 두고 관련 상품 가격 오름세에 베팅하는 경향을 보인다.

물가 관련 투자상품으로는 대표적 인플레이션 헤지(위험방어) 자산인 금과 필수 소비재인 석유 금속 대두 등이 있다. 물가연동채권과 부동산도 물가 상승기에 거론되는 투자대상이다.

강 연구원은 “현재 인플레이션 논란이 격렬해지고 있으므로 유동성은 물가와 관련한 투자대상물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며 “유동성 이전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되면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식시장 내에서는 조선, 철강처럼 최근까지 구조조정을 거친 물가 관련주가 수혜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전규연 하나금융투자 선임연구원은 암호화폐 변동성이 커질수록 금 투자가 확대될 개연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그동안 비트코인은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여겨지며 자금을 빠르게 흡수했는데 지금처럼 큰 변동성을 보이면 종전의 투자 이유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그는 “암호화폐 가격 급락으로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약해지며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상대적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며 “비트코인으로 옮겨갔던 인플레이션 헤지용 금 투자 수요가 최근 돌아오고 있다”고 평가했다.


세계 최대 비트코인 투자상품인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트러스트(신탁) 총자산은 이달 들어 급감했다. 반면 세계 최대 금 투자 ETF(상장지수펀드)인 SPDR 골드셰어즈는 자금 유입이 크게 늘며 완면한 반등세를 그리고 있다. 금 선물 가격은 3월 말 100온스당 1680달러에서 지난 22일 1880달러로 약 12% 상승하며 1900달러를 거의 회복했다.

최근 암호화폐 가격이 급등락을 보이는 상황에서 미국 헤지펀드들은 미국 성장주와 신흥국 주식을 팔고 미국 가치주를 사들이는 모습이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암호화폐 가격이 급등락세를 보이면서 투자자들은 금융시장이 정상적이지 않다는 불안감을 느끼는 중”이라며 “이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더불어 글로벌 자금이 미국 가치주를 사들이는 방어적 전략을 펴게 만드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암호화폐 시장을 이탈한 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주택가격 상승세가 주식시장 못지 않게 가팔랐던 데다 정부의 규제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가계부채 종합대책, 금융소비자 보호법 이후 은행이 적극적으로 한도를 축소하고 금리를 올리고 있어 주택시장 안정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의 무주택자에 대한 규제 완화가 주택시장의 새로운 변수가 될 수 있지만 금소법이 정착될 경우 은행의 소극적 대출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