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6월 백신 보릿고개 타개를 위해 우리 정부가 추진해온 ‘한·미 백신 스와프’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논의되지 않았다. 백신 스와프는 미국의 백신 여유분을 한국에 조기 공급하고, 이를 나중에 한국이 되갚는 방식을 뜻한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다음 달까지 총 8000만회분의 코로나19 백신을 개발도상국 등에 지원할 계획인데, 한국을 ‘방역 우수국가’로 분류해 지원 대상국에서 제외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3일 한·미 백신 스와프 무산과 관련해 “가능한 모든 백신 수급 대안을 검토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스와프도 검토됐다”며 “미국으로서는 한·미 양자간의 문제가 아니라 공공의료 체계가 부실하고 확진자도 많고 치명률도 높은 취약한 국가들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위시리스트를 다 하려고 하는 것은 동맹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100가지를 요구해 100가지를 다 들어주게 할 수는 없다”라고 부연했다.
지난달 백신 스와프 체결 가능성을 밝혔던 정의용 외교부 장관도 22일 “미국도 자체백신 물량이 충분하지 않다. 한국만 특별히 지원한다는 것은 명분이 약하다는 게 미국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이 세계적으로 방역 모범국으로 평가받고 있기에 우리보다 훨씬 더 못한 개도국에 우선적으로 지원해줘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많은 것 같다”고 덧붙였다.

결국 양국이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체결과 한국군 55만명에 대한 미국의 백신 무상 지원을 절충안으로 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바이든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공동기자회견에서 한국군 55만명에 대해 “주한미군과 접촉이 많다”고 발언한 것도 백신 수급에 나선 한국의 체면을 세워주는 한편 백신 지원과 관련한 명분을 세우기 위한 의도로 해석된다.
한·미 백신 스와프가 무산되면서 2분기 국내 백신 수급에 대한 우려는 계속될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방미 기간에 백신 회사들과 만남이 있었던 만큼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꾸준히 접촉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워싱턴=공동취재단 foryo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