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목표로 하고 있는 ‘11월 집단면역’ 달성에 동의하는 국민은 10명 중 1명 정도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838명을 대상으로 ‘한국 백신보급과 백신여권 도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설문 결과 응답자의 60.8%는 우리나라의 집단면역 달성 예상 시기를 내년 하반기까지로 내다봤다. 2023년 이후로 예상하는 응답자도 29.3%나 됐다.
반면 정부 목표인 올해 11월을 집단면역 달성 예상 시기로 보는 응답자는 9.9%에 그쳤다.
정부의 코로나19 백신 도입 정책에 대한 평가는 100점 만점에 평균 55.3점으로 나타났다.
최근 백신 접종률이 높은 국가를 중심으로 백신여권 도입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응답자의 67.4%는 백신여권 도입 시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11.7%였다.
백신여권으로 가장 하고 싶은 것으로는 응답자의 36.4%가 해외여행을, 24.0%가 국내 여행을 꼽아 여행에 대한 욕구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공연장 등에서 문화생활을 즐기거나(19.3%) 자유롭게 레스토랑에서 외식하고 싶다(13.3%)는 응답도 뒤를 이었다.
백신여권 활성화의 전제 조건으로는 응답자의 62.0%가 ‘충분한 백신 확보를 통한 국내 백신 접종률’을 꼽았고, ‘주요 국가의 백신여권 도입 여부 및 합의’를 꼽은 응답자는 15.7%였다.
빠른 경제 회복과 현재의 위기 극복을 위해 백신(여권) 우선권을 줄 필요가 있는 직업군으로는 해외 출장이 긴요한 기업체 임직원(43.5%), 국가 간 공조를 협의할 공무원(24.1%), 최신 학술연구가 필요한 학계와 유학생(15.7%),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연예·스포츠업계 종사자(9.8%) 순으로 조사됐다.
경제인에게 백신(여권)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3.3%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국민의 해외여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우리 정부가 백신 확보와 함께 국경이동에 필요한 국가 간 논의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며 “정부가 해외 출장을 앞둔 기업인에 대한 백신 우선접종 정책 추진에도 속도를 내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