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명예의 전당 문 열어…검증절차 소홀 여론확산

Է:2021-01-15 10:16
:2021-01-15 11:01
ϱ
ũ

광주시청 1층 시민홀에 267명 헌액. 아너소사이어티 회원인 성범죄자 등 2명은 옥의 티.


광주 공동체를 위해 헌신한 ‘영웅’들을 기리는 명예의 전당이 14일 광주시청 1층 시민홀에서 문을 열었다. 지역사회 발전에 뚜렷한 공적을 세운 사회공헌자를 예우하고 살맛나는 공동체 형성에 초석이 될 사회공헌 문화를 활성화하자는 차원이다.

명예의 전당은 3개 구역으로 꾸며졌다. 첫 구역에는 1987년부터 매년 사회봉사와 학술, 예술, 체육, 지역경제진흥 등 5개 분야에서 지역발전을 위해 공헌한 시민·단체를 발굴해 시상한 ‘시민대상’ 수상자의 이름이 새겨졌다.

현재 역대 시민대상 수상자 153명이 헌액돼 있으며, 향후 수상자를 위한 자리도 마련돼 있다.

두 번째 구역은 나눔을 통해 지역사회에 공헌한 ‘아너소사이어티’ 회원을 위한 공간이다. 광주시 아너소사이어티 회원 114명의 이름이 이 곳에 헌액돼 있다. 세 번째 구역은 지역사회를 위해 나눔과 연대를 실천하며 따뜻한 울림을 준 평범한 시민 영웅을 발굴해 채워가기로 했다.

하지만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린 인물 중 극히 일부는 성추행 사건에 휘말리거나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끼친 경제계 인사도 포함된 것으로 드러나 그 취지를 무색하게 만든다는 지적이다.

아너 소사이어티 회원 중 기업인과 의료인 등 2명은 수년전 성추행 사건으로 지역 사회에서 많은 지탄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두고 시민사회단체 등은 “이웃을 위해 살신성인을 실천한 의인이나 코로나19 방역 최전선에서 땀흘리는 의료진과 자원봉사자, 민주화운동에 헌신한 5·18 단체 회원 등이 진정한 영웅이 아니냐”며 “행정편의적 헌액 대상 선정이 아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행정기관이 주도해 물의를 빚은 인사들까지 일방적으로 영웅화하는 게 볼썽 사납다”며 “범시민적 합의나 검증절차도 거치지 않은 명예의 전당을 누가 납득하겠느냐”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위해 시민사회단체, 시의회 등 각계 인사들로 선정위원회를 꾸려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명예의 전당에 헌액할 영웅을 가려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명예의 전당 개관식에는 이용섭 광주시장, 김용집 광주시의회 의장, 전년도 시민대상 수상자, 구제길 광주아너소사이어티회장, 윤택림 광주시 시정자문위원회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시는 명예의 전당 개관을 사회공헌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확산하는 계기로 삼겠다는 입장이다. ‘위대한 사람들의 특별한 행보’가 아닌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 속 한 걸음’으로 사회공헌의 저변을 넓히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철저한 사전 검증이나 시민적 공감을 얻지 못한 일부 헌액 영웅 선정과정으로 진정한 사회공헌의 의미를 퇴색시켰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시는 이 같은 여론이 일자 선한 영향력을 전하는 평범한 시민을 추가 발굴해 남은 공간을 채우기로 했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시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규정에 따라 아너 소사이어티 회원 자격이 박탈될 경우 해당 인물을 배제하는 조치를 취하고 헌액 대상 선정 과정 검증도 강화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용섭 시장은 “광주학생항일운동, 5·18민주화운동처럼 시대의 어둠을 밀어내고 새로운 빛을 가져온 사람들은 언제나 우리 주변의 평범한 이웃이었다”며 “명예의 전당이 선하고 가슴 따뜻한 보통시민들의 뜻깊은 발자취를 기록하고 기억하는 공간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